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KUMDANJE HANBOK 베개 이야기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금단제 #한복 #베개 베개 누울 때 머리를 편하게 받치는 데 쓰는 침구. 베갯잇 베개의 겉을 덧씌워 시치는 헝겊. 베갯모 베개의 양쪽 끝에 대는 꾸밈새. 보통 팥 ·녹두 등의 곡식이나 쌀겨 ·메밀껍질 등을 속에 넣어 만드는데, 나무(목침) ·대(죽침) ·도기(도침) 등으로 만든 것도 있다. 조선시대의 베개는 재질에 따라 수침 ·퇴침 ·목침 ·도침 ·곡침 ·면침 등이 있다. 이 밖에 베갯 모의 무늬에 따라서 구봉침(九鳳枕) ·학침 ·호침 ·목단침 ·연화침 ·수복침 등이 있다. 이것은 여성들의 이상과 바람을 형상화하여 수놓은 것이며, 글자는 부(富) ·귀(貴) ·수(壽) ·복(福) ·희(囍) ·강(康) ·녕(寧) 등을 글자를 많이 쓴다. 퇴침 : 나무를 상자 모양으로 짜고 서랍을 짜 넣은 목침의 하나인데, 비녀나 빗등의 화장용구를 넣어둔다. 목침 : 여름철에 주로 서민층에서 애용했고, 세공이 뛰어난 예술작품이 많았다. 오늘날의 베개는 헝겊으로 만든 둥근 베개와 긴 네모형 베개가 가장 많고, 혼수에는 2인용의 긴 베개와 1인용의 베개를 홀수로 준비하며, 여름에는 대[竹]베개 ·고무베개 등을 간혹 쓰는데, 베갯속은 왕겨 ·메밀껍질 ·깃털 ·스펀지 ·좁쌀(아기의 베개) 등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