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이슈정주행] 8억 달러 내세우며, 족쇄 채운 일본…실체 파헤쳐보니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1. 아베 정권은 식민지배에 대한 책임을 얘기할 때마다 1965년의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다 끝났다고 말하고 있지요. 지금부터는 예고해드린대로 그 허구성을 짚는 뉴스룸의 특별취재입니다. 2. 서울지하철 건설에 투입된 일본 차관은 다시 전범기업들에게 돌아갔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당시 일본이 제공한 차관을 쓰기 위해서는 일본에서 생산된 특정 품목을 구입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습니다. 3. 일본이 건넨 8억 달러 가운데 3억 달러는 무상 경제협력기금이었습니다. 무상 기금이 가장 많이 투입된 곳은 포항종합제철, 지금의 포스코입니다. 그런데 원래 일본은 무상 기금으로 포항제철 건설에 부정적이었는데 갑자기 협력하겠다고 돌아섰습니다. 저희 취재진이 입수한 당시 문건에 그 속내가 드러나 있었습니다. 4. 저희가 입수한 1973년 9월 박정희 전 대통령과 한·일협력위 일본측 위원들의 면담록입니다. 당시에 김대중 의원 납치사건으로 한·일 관계가 급속하게 냉각된 상황이었지요. 지금까지는 그 해 11월에 김종필 당시 총리가 박 전 대통령 친서를 일본에 전달해서 얼어붙었던 관계를 회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면담록을 보면 두 달 전에 이미 한·일협력위가 '해결사' 역할을 했던 정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5. 한·일협력위원회라는 것은 한·일 관계 주요 국면마다 깊숙이 개입해 왔습니다. 원조로 포장된 8억 달러를 내세우면서 일본의 이익을 대변했습니다. 그 배경에는 전범과 전범기업, 그리고 만주군 출신으로 구성된 일본 측 위원들이 있었습니다. 6. 1970년 박정희 정부는 제주도 남쪽 대륙붕 지대, 이른바 '제7광구' 개발을 선포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기억하시지요. 그 당시 국민들은 산유국의 꿈에 부풀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1972년 한·일 양국은 이 7광구를 공동 개발하기로 전격 합의했습니다. 그 배경에는 일본 협력기금 8억 달러를 앞세웠던 한·일협력위원회가 있었습니다. 당시 맺은 독소조항으로 7광구는 30년 넘게 방치되고 있고, 심지어 9년 뒤면 일본으로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