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조선변란사] 세조 반정공신들의 적반하장 반란, 김처의(金處義)의 난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조선변란사 #세조 #반정공신 #김처의의_난 #봉석주 #박팽년의_형수 #김처례 오늘 조선변란사는 세조 반정공신들의 적반하장 반란인 김처의(金處義)의 난입니다. 김처의(金處義)의 난은 세조 11년인 1465년에 봉석주(奉石柱)의 고변으로 김처의, 최윤(崔潤), 봉석주 등이 처형된 사건입니다. 김처의(金處義) 김처의의 집안은 단종 때 정난공신 1등으로 녹공된 아버지 효성(孝誠)을 비롯해, 아우인 처례(處禮)·처지(處智) 등이 모두 무(武)에 투철한 공을 세운 집안이었습니다. 이런 집안에서 자란 그도 정난공신 3등에 책봉된 무신으로 세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1463년에 압량위천(壓良爲賤)의 죄로 대간의 격렬한 탄핵을 받아 세조로부터 심한 문책을 받았습니다. 압량위천(壓良爲賤)이란 양인을 강제로 종으로 삼은 것을 말하는데 조선 초기 김도련의 뇌물사건의 김도련이 고려말에 신돈을 등에 업고 저지른 짓이기도 합니다. 같은 해 무재록(武才錄)으로서 병서를 읽는 일과(日課)에 결석해,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으며 서면 심문서인 공함(公緘)을 갖고 간 노복을 구타한 죄로 의금부에 하옥된 일도 있었습니다. 1464년에는 세조가 행궁(行宮)에 머물고 있을 때 민가에 투숙한 죄로 고발당했으나 곧 용서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