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흥왕사 반란사건 그리고 노국공주의 죽음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고려편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고려편 #376] 흥왕사 반란사건 그리고 노국공주의 죽음 | KBS라디오 20120108 방송 방송일자 2012-01-08 진행자 김석환 연출자 임종성 작가 이상락 출연 김동하,권도일,박상훈,김영우,탁원정,권창욱,박상경,이영미,강규리,선은혜,안찬이 초록 홍건적을 몰아내고 승리를 거둔 전쟁승리의 주역들이 공민왕 측근인 김용의 간계에 의해 목숨을 잃는 사태가 벌어지고 살해된 장수들 중 김득배의 최후와 관련한 내용 공민왕 11년 7월, 나하추 군대가 탁도경, 조소생 등과 함께 달단동을 침범하고 이 전투에서 이성계가 빛나는 전공을 세우게 되는 과정 공민왕이 1363년 2월, 개경 근처의 흥왕사로 환도 원나라에서 공민왕을 폐하고 덕흥군을 고려왕으로 책봉하려 한 배경과 공밍왕이 이 상황을 처리해가는 과정 1363년 윤3월 초하룻날, 공민왕이 머무르고 있던 흥왕사에서 벌어진 반란사건 내용 공민왕 14년 2월, 원나라 출신 왕비 노국공주가 난산의 진통 끝에 사망 사서에서 공민왕이 노국공주 죽음 이후 정치행태를 부정적으로 기술한 배경 인서트리스트 01 정몽주가 홍건적과의 전쟁승리의 주역이었던 김득배의 죽음을 보고 지은 제문의 내용/홍영의 숙명여자대학교수 03:12 03:52 02 스승 김득배 영전에 바치는 제문을 통해 공민왕까지 질타한 정몽주에 대해 공민왕이 죄를 묻지 않은 배경/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07:10 07:58 03 공민왕 11년 7월, 함주의 탈단동을 침범한 나하추 탁도경 조소생이라는 인물 분석/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09:01 09:41 04 고려사 집필자들이 이성계의 활약상을 과장해서 기록해 놓은 이유/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14:51 15:42 05 나하추 군사들과의 싸움이 이성계와 관련된 영웅담 중 높이 평가받는 배경/홍영의 숙명여자대학교수 16:13 16:49 06 요동과 만주에 세력을 가지고 있던 나하추의 침략을 이성계가 막는데 성공하면서 대단한 업적을 남긴 것/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16:57 17:43 07 서기 1363년 2월 원나라에서 공민왕을 폐하고 덕흥군을 고려왕으로 책봉하려는 발상을 한 배경/홍영의 숙명여자대학교수 20:38 21:22 08 공민왕이 원이 고려의 국왕을 교체하려고 나선 상황을 해결할 적임자로 이공수를 택한 배경/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22:37 23:17 09 서기 1363년 김용 일당이 공민왕을 시해하려는 반란을 모의한 배경/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홍영의 숙명여자대학교수 29:09 30:43 10 공민왕이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목숨을 지키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은 원나라 출신 왕비 노국공주/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32:56 33:39 11 고려의 왕을 교체하겠다고 나섰던 원나라가 슬그머니 계획을 접게 된 배경/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39:18 40:03 12 원나라가 공민왕의 폐위 계획을 접게 된 이유/홍영의 숙명여자대학교수 40:23 41:12 13 공민왕이 노국공주가 죽음으로써 큰 충격에 빠지게 된 배경/홍영의 숙명여자대학교수 43:45 44:32 14 공민왕이 노국공주 사후 정사를 방치하고 혼란스런 정국을 초래했다는 평가에 담긴 의도/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45:01 45:49 15 고려가 원 간섭 기에 무장이 해제되다시피 했음에도 군사력을 빨리 회복할 수 있었던 배경/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47:04 47:50 16 가장 견고한 사병조직을 가지고 있던 이성계가 사병 때문에 결국 국왕까지 오를 수 있었다는 분석/이익주 서울시립대학교수 48:01 48:37 17 고려사에서 승려 신돈을 부정적인 인물로 묘사한 배경/홍영의 숙명여자대학교수 51:09 5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