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안전모만 달랑…소규모 공사 현장 안전 사각 / KBS 2023.04.10.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코로나19 방역 빗장이 풀리면서 건설 현장들도 공사를 속속 재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본적인 안전 조치도 없이 공사가 이뤄지는 곳이 수두룩했습니다. 조휴연 기자가 위험한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커다른 철골 구조물 2층 위에서 안전모를 쓴 인부들이 분주히 오갑니다. 3미터 높이라면 있어야 할 안전 난간이 없습니다. 추락 방지망도 찾을 수 없습니다. 모두 불법입니다. 공사 현장 담당자들은 빠듯한 공사 기간만 탓합니다. [공사 현장소장/음성변조 : "작업 때문에 그럴 수밖에 없으니까. 장비를 세워 두고 작업을 기다릴 수가 없으니까. 이런 데는 입찰을 봐서 경쟁업체들하고 조금이라도 싼 팀들이 하는 거라."] 또 다른 공사현장도 위험한 상황은 비슷합니다. 건물 뼈대만 올라가 있는 현장입니다. 뒤쪽에는 추락주의라는 안내판이 있지만 난간은 설치돼 있지 않습니다. 처음엔 안전시설을 설치했지만 관리가 안되는 곳도 있습니다. 이 곳은 설치해 놓은 발판을 나중에 치워버렸습니다. 자재를 옮기는 데 방해가 된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공사 현장소장/음성변조 : "자재를 위로 올려놓고 그거(발판)를 이제 다시 덮어 놓으면 되는데. 저희도 미처 인지 못 하는 부분들도 있고. 그래서 뭐 오늘 같은 경우는 한 장씩 빠지는 거."] 공사금액 60억 원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에는 안전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아도 됩니다. 안전 문제에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오기학/고용노동부 강원지청 근로감독관 : "대기업에서는 돈, 자금이랑 인력이 되니까 충분한 안전 조치가 가능한데. 영세해질수록 안전 조치가 조금 부족합니다. 전체적인 인식 자체도 부족한 편이고요."] 지난해 전국 건설현장에서 숨진 산업재해 사망자는 340여 명. 이 가운데 66%가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했습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안전사각 #소규모건설현장 #안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