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성철스님의 백일법문 123] 유식사상의 게송 해설 : 6식송 1968년 1월 10일법문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제 6식은 의식(意識)을 말하는데, 거기에는 삼성(三性)과 삼량(三量)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량은 현량(現量)과 비량(比量)을 말합니다. 현량은 직관적으로 대상을 아는 것이요, 비량(比量)은 유추와 추리로써 사물을 아는 것이며 비량(非量)은 잘못된 현량(現量)과 비량(比量)을 말합니다. 그리고 삼성은 선(善)과 악(惡)과 무기(無記)를 말하는 것입니다. 또 제6식은 삼경(三境)에 통하는데, 삼경이란 성경(性鏡)과 독영경(獨影境)과 대질경(帶質境)으로 인식의 대상을 세 종류로 분류한 것입니다. 성경이란 주관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객관세계이며, 독영경은 주관의 영향하에 나타나는 망시적 경계이고, 대질경은 본질은 있으나 본질 그대로는 나타나지 않는 경계입니다. 제6식은 바로 이 세 경계에 모두 통하는 것입니다. 중생이 삼계(三界)에 윤회할 때에 삼계에서 받는 생사(生死)와 선과 악의 인과(因果)는 바로 이 제6식의 작용으로 말미암은 것이므로, 그 행상이 8식 중에서 가장 뚜렷하여 쉽게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성철스님의 백일법문 제4장】 제4장 유식 법상종의 중도사상 5. 유식사상 (2) 6식송 .....335 [성철스님의 백일법문 123] 유식사상의 게송 해설 : 6식송 1968년 1월 10일법문 #성철스님 #백일법문 #유식6식송 백련불교문화재단 http://sungchol.org/ 성철선사상연구원 http://www.songchol.com/?skipintr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