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세계를 만나는 시간, NOW] [세계사로 뉴스 읽기]“벨라루스 대선불복 시위에 푸틴이 왜 간섭할까”_이원복 덕성여대 석좌교수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세만시] “벨라루스 대선불복 시위에 푸틴이 왜 간섭할까” 9.10(목) 세계를 만나는 시간 NOW 방송 시간 : 평일 오전 09:10~10:00 세계를 만나는 시간 NOW_세계사로 뉴스 읽기 x 이원복 덕성여대 석좌교수 [세계를 만나는 시간, NOW 다시듣기] https://radio.ytn.co.kr/program/?s_mc... [앵커멘트] 역사 속에서 세계를 배우는 시간이죠. 세계사로 뉴스 읽기 덕성여대 이원복 석좌교수, 스튜디오에 나와 계십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1. 벨라루스에서 대선이 치러진 지 어제부로 딱 한 달이 됐습니다. 선거 결과는 26년째 벨라루스에서 대통령을 맡아왔던 루카센표 대통령이 80.1%의 득표율로 압승을 거뒀는데... 문제는 야권이나 시민들이 투표결과를 믿을 수 없다, 부정과 개표조작이 있었다,라면서 반발 시위를 하고 있고 한 달이 된 지금까지도 그 반발시위가 이어지고 있다는 거거든요. 심지어 야권 인사들이 실종되고 강제 출국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고... 그리고 루카센코 대통령은 ‘개헌’이야기는 하고 있습니다만 자리에서 내려올 뜻은 없는 것 같더라고요? 2. 자세한 이야기 나누기 전에 일단 벨라루스가 유럽에 속해있죠? 자연이 정말 아름다운 곳이라고! 3. 아무튼 이 소식을 전하면서 놀라웠던 건 벨라루스가 소련으로부터 독립 이후 26년 넘게 한 대통령이 장기집권을 해왔더라고요? 유럽에도 이런 국가가 남아있었다니! 4. 또 눈에 띄었던 것은요. 많은 전문가들이... “향후 벨라루스 정국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 지는 러시아가 키를 쥐고 있다”라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부분이거든요. 도대체 벨라루스와 러시아의 관계가 어떻기에 이런 분석이 나오는 건지.. 이 부분도 역사를 알면 이해가 쉽죠? 5. 지난해 나온 뉴스를 보면 러시아와 벨라루스가 국가를 하나로 합치는 문제를 놓고 논의를 했다,란 보도가 나와 있더라고요? 6. 독립국이 됐는데 다시 그 이전으로 돌아가는 부분을 논의한다는 것 자체가 사실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긴 한데요. 벨라루스의 경우 소련에서 독립한 다른 연합국들과 비교했을 때 러시아에 대한 의존도도 높고 반발심 또한 굉장히 적은 모양이더라고요? 이게 어떻게 가능한가 싶기도 하고요? 7. 한 나라의 민족 정체성을 없애기 위해 정책을 펼쳤다는 부분.. 그리고 그 정책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둬 실제 벨라루스 주민들이 본인들을 벨라루스인이 아닌 러시아의 지방주민 정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게 마음이 아픈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민족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았을까 싶거든요? 어땠나요? 8. 교수님께서 말씀주신대로.. 벨라루스가 독립국이 되면서 그동안 본인들이 배우던 역사를 그냥 무조건 받아들이는 게 아니라, 새로운 시각으로, 벨라루스인의 시각으로 다시 재평가하는 노력이 있었다는 건데, 저는 이 대목이 크게 다가오더라고요. 청취자분들을 위해 소개를 해드리면. “벨라루스인은 러시아민족의 한 부류가 아니라 유럽민족의 일원이다, 소비에트 당국은 벨라루스공화국의 역사적 고통과 수난의 ‘가해자’이다” 교수님께선 어떻게 들으셨어요? 9. 앞서 초대 대통령으로 30년 가까이 집권해온 루카센코 대통령도 집권하자마자 ‘친러시아’행보를 꾸준히 보여왔죠. 9-1. 벨라루스와 유사한 상황에 놓여있는 우크라이나와는 정말 다른 방향인 것만은 확실한 것 같아요! 10. 그리고 벨라루스의 역사와 관련해 흥미로운 부분이.. 국제연합, UN의 창설회원국이라고 하던데 UN이 창설됐을 당시에는 독립된 국가가 아니라 소비에트 연방 소속 아니었나요? 그런데 어떻게 창설회원국으로 이름을 올렸던 건지? =============== 교수님,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지금까지 이원복 덕성여대 석좌교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