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기독교교양사전 365] #48 막달라 마리아, 창녀에서 수제자로 (박인희 박사, 이화여대)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기독교교양사전 365 프로젝트의 뜻에 동참하시고자 하는 분들은 아래의 계좌로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후원하실 때에 '성함(365)', 예를 들어 홍길동(365)라고 써주시면 됩니다. 카카오뱅크 79791050098(신익상, 한국기독교교양학회) #막달라마리아 #기독교교양, #365프로젝트, #기독교교양사전, #박인희박사 *막달라 마리아, 창녀에서 수제자로 예수님의 수난의 사건에 베다니의 여인이 있다면, 예수님의 부활의 소식에는 막달라 마리아가 있습니다.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님의 수제자이지만, 대부분 기독교문화권에서는 원래 창녀였다가 회개한 여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양미술에서 대부분 막달라 마리아는 육감적이고, 성적인 매력을 발산하는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또 「다빈치코드」라는 영화에서처럼 프랑스에서는 막달라 마리아에 대한 전설도 발전했는데, 이 전설에 의하면 그녀는 예수님의 일부 추종자들과 함께 프랑스 남부로 옮겨와 30년간 살았습니다. 막달라마리아는 주로 동굴에 숨어 지냈는데, 신비하게 눈이 밝아서 횃불 없이도 동굴에서 살 수 있었고, 예수의 여인이었던 그녀의 후손이 결국 프랑스 메로빙거 왕조를 탄생시켰다는 것입니다. 이런 전설들이 만들어질 만큼 막달라 마리아는 서양문화권에서는 아주 유명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복음서를 따라 그녀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들어보아야만 하겠습니다. 막달라마리아에 대해 가장 중요하고 권위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은 역시 무엇보다도 사복음서(마태, 마가, 누가, 요한 복음서)입니다. 막달라 마리아는 4복음서 모두에 등장합니다. 막달라라는 말은 미그달이라고 하는 지명인데 막달라 출신 마리아는 일곱 귀신 들렸다가 치유 받은 여인으로 나옵니다.(마가복음16:9, 누가복음 8:2). 아마도 마리아는 큰 병에 걸렸다가 예수에게 치유 받은 후 예수의 제자가 되었을 것입니다. 마리아는 이렇게 복음서에 자주 등장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녀가 예수님의 십자가 처형과 매장, 그리고 부활의 현장에 있었던 가장 중요한 목격자 증인이라는 것입니다. 마리아는 예수가 처형당할 때도 십자가 밑에 있었고, 매장 후에도 향품을 가지고 예수의 무덤을 찾아 시신을 제대로 수습하여 장례를 치루려 했던 용감한 여인이었습니다. 예수가 당하신 십자가형은 로마의 반란범을 처형하는 중형으로 아마도 예수와 함께 다녔다는 사실이 노출되면 신변에 위협이 있었을 것입니다. 바로 이런 이유에서 예수의 남성 제자들은 예수의 무덤을 찾아올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큰 위험 속에서도 예수의 무덤을 찾아온 마리아는 예수님의 빈 무덤 목격자/증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마가복음 16:9-10, 마태복음 28:1-10, 요한복음 20:1-18, 누가복음 24:1-12), 부활한 예수를 가장 먼저 만났다는 기독교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을 만나게 됩니다.(요한복음 20:1-18). 그런가 하면 외경에서도 막달라 마리아는 비중있게 다루어집니다. 기독교에서 정경화 작업은 거의 4세기 말에 완성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기독교 문서들이 있습니다. 박해 때문에 많은 자료들이 소실되었지만, 그래도 19-20세기 들어서 중요한 자료들이 많이 발굴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자료에서 막달라 마리아가 비중 있게 다루어질 뿐만 아니라 「마리아복음서」라는 마리아가 주인공인 복음서에서는 「마리아복음서」 본문 전체는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앞부분이 손상되어 있지만 가장 완벽한 형태의 「마리아복음서」가 들어있는 Codex Berolinensis 8502는 Berlin Codex 로 5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발굴되어 출판된 마리아 복음서는 6-14의 8장이다. 마리아가 부활한 예수에게 사명을 받아 남성제자들에게 전달하는 최고의 수제자로 등장합니다. 지혜롭고 용감한 그녀는 두려움에 떠는 남성 제자들을 이끄는 리더로 나옵니다. 한편 「빌립복음서」는 막달라 마리아를 예수와 아주 친밀한 존재로 그리는데 이것 때문에 종종 마리아와 예수님을 부부처럼 보는 「빌립복음서」 예수의 동반자인 막달라의 마리아로 나오지만 여기에는 여성을 적대하는 글도 있다. 또 「피스티스 소피아」(3세기)에 보면 마리아와 베드로의 대결이 나오는데 여기서 마리아는 베드로가 무섭고 우리 종족을 미워한다고 말하는 등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시각도 나오게 됩니다. 종합해 보면, 막달라 마리아는 초대교회가 시작될 무렵, 중요한 지도력을 발휘했던 예수의 수제자이며, 예언가, 환상가, 교사로, 뛰어난 지혜를 가진 인물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녀에 대한 기록이 사복음서 모두에 나올 뿐만 아니라 많은 외경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은 초대교회에서 막달라 마리아가 매우 중요한 인물이었음을 말해줍니다. 그래서 로마시대 초기 교부들도 막달라 마리아를 매우 높이 보았습니다. 심지어 여성혐오적인 발언으로 유명한 터툴리안( Tertullianus, 155- 220)마저 마리아를 칭송했고, 어거스틴(Augustinus 354-430) 역시 마리아를 "사도 중의 사도”불렀습니다. 그녀가 바로 부활의 첫 증인이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점차 기독교가 공인되며 안정된 제도를 확립해가면서 마리아의 위상은 점차 하락하기 시작합니다. 이제 신학자들은 부활의 증인은 마리아 혼자가 아니라거나, 여성이 죄의 발단이라서 부활의 소식도 여자가 처음 듣게 된 것이라는 식의 논리를 펼치게 됩니다. 그러다가 이제 점점 누가복음 7:36-50의 죄 많은 여인과 막달라 마리아를 동일시하기에 이르게 됩니다. 누가복음에만 나오는 이 죄 많은 여인은 예수에게 찾아와 눈물로 발을 씻고 발에 기름을 부은 여인이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사용한 “죄”라는 용어는 하마르티아와 관련된 “하마르톨로스”, 곧 죄, 과오 심지어, 심지어 종교적인 절차적적 결례까지도 포함하는 매우 광의적인 말입니다. 더구나 이스라엘에서 병은 죄의 결과라고 간주했기 때문에, 병에 걸려도 죄인이 되었습니다. 반면에 헬라어로 성적인 죄에 대해서는‘포르네이아’라는 전혀 다른 단어가 있기 때문에 이 죄 많은 여인의 죄는 어떤 죄이지 모르겠지만 성적인 죄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했습니다. 그럼에도 교회전통에서는 이 여인의 죄를 성적인 죄로 간주했고, 그래서 이 여인은 창녀가 되었습니다. 여기에 단지 기름을 부었다는 이유 때문에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의 베다니의 여인(막14:3-9, 마26:6-13) 이야기가 합쳐졌고, 그 베다니의 여인이 요한복음에서는 마리아(요한복음 12:1-8)로 불렸기에 막달라 마리아도 이제 이 여인들과 동일시된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예수의 메시아적 사명을 이해했던 그 뛰어난 베다니의 여인도 묻히고,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의 수제자가 아닌 죄 많은 여인이 되었습니다. 이에 쇄기를 밖은 것이 6세기 그레고리 교황(Pope Gregory I, 540-604)의 설교였습니다. 누가가 죄 많은 여인이라 불렀던 여인, 요한이 마리아라 불렀던 그녀, 우리는 그녀가 마가가 말한 일곱 귀신으로부터 해방된 여인이라 믿습니다. 그 일곱 귀신이란 무엇입니까? 그것은 모든 악이 아니었겠습니까?...형제들이여, 그것은 분명합니다. 이 여인은 그 연고(향품?)을 금지된 행위를 위해 자기 육체에 향기를 품게 하려 사용했었을 것입니다. (그레고리 교황 설교 33 (Homily 33, pope gregory I ) 이런 식으로 초대기독교의 지도자였던 막달라마리아는 이제는 교회전통에 의해서 회개하는 창녀로 변형되었습니다. 어찌보면 막달라 마리아는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쉽게 이해될 수 있었던 여성의 성역할(gender role)에 관한 통념에 의해서 창녀로 오인 되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편, 주목할 점은 동방교회전통에서는 서방교회와 달리 막달라 마리아에 대한 왜곡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구유럽은 서방교회전통을 그대로 따랐고 우리나라도 서방교회 전통에 속함으로 이글에서는 지면상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만약 막달라 마리아가 누구의 딸이거나 결혼했다거나 과부라는, 즉 그녀가 누구인지를 말해 줄 수 있는 남성가족이 있었더라면, 그녀는 창녀로 분류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고대의 가부장적 세계관에서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인간이라기 보다는 그 존재가치가 성역할에 달린 열등한 존재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런 남성중심적 관점에서 볼 때 여성의 존재가치란 결국 가정에서 자녀를 생산하여 한 가계를 유지하거나, 최소한 남성에게 쾌락을 제공해야 하는 성적 역할에 달렸다고 하겠습니다. 이렇게 여성의 존재자체가 이런 성역할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막달라 마리아도 그렇게 보았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그녀를 교회의 지도자라거나 예수의 제자라고 하는, 여성에게는 전혀 부여되지 않는 공적영역 속으로 편입시킬 수는 없었지만, 대신 그녀가 자기 소속을 알려줄 남성가족이 없다는 점에서 한 가정 내에 소속이 없는 여자, 집 밖의 여자, 곧 거리의 여자라는 공식이 쉽게 대입되었을 것입니다. 만일 마리아에게 아버지나 남편, 아들, 아니 삼촌이나 남자 조카라도 있다는 어떤 최소한의 정보만 있었더라도 마리아가 쉽게 창녀로 오인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이렇게 성경이 아닌, 여성에 대한 통념이 마리아를 천오백여년 동안 창녀로 둔갑시켰던 것입니다. 막달라마리아는 최근에야 자기 자리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교황청에서도 공식적으로 마리아의 권위를 복원시키려 노력하고, 이런 노력들이 반영된 대중매체, 거스 데이비스 감독의 「막달라 마리아: 부활의 증인」 (2018) 최근 영화도 나왔습니다. 이렇게 베다니의 여인이나, 막달라 마리아 외에도 다시 성서로 돌아가 보면 숨겨진 우리의 자매들을 찾을 수가 있습니다. 기독교신앙과 신학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여성들의 이야기가 더 많이 밝혀져서, 이것이 성경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 많은 노력들에 힘을 보태주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