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영어의 태 2] that절을 수동태로 돌리면 생기는 일 (윤문법 시즌 2 ep.7 - that절의 수동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이정도의 내용까지 다룰까 말까는 늘 고민하는 부분입니다만.. 그래도 이런 부분도 조금씩 다루기 시작해야 할 것 같아서 올려봤습니다! 타동사 뒤에 that절이 목적어로 나오는 경우 수동태를 만들면 영상과 같은 과정으로 문장 형태가 나올 수 있다는 부분을 이해해 두시면 정말 자주 보는 형태인 It is believed that S V ~ : S가 V한다고 믿겨지고 있다 It is thought that S V ~ : S가 V한다고 생각되어지고 있다 It is considered that S V ~ : S가 V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It is known that S V ~ : S가 V한다고 알려져 있다 It is assumed that S V ~ : S가 V한다고 생각되어 진다 It is proved that S V ~ : S가 V한다고 입증된다 It is estimated that S V ~ : S가 V한다고 평가되어 진다 등등등 의 형태가 이해가 되실 겁니다 . (위에 동사들은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합니다) 영상에서 설명은 안했지만 tell과 같은 동사는 I told him that the news is true 이렇게 that절을 바로 받지 않고 간접목적어인 him을 받고 직접목적어로 that절이 올 수 있는데 이 경우는 He was told that the news is true 이렇게 모양이 나오게 되구요 tell은 say 와는 달리 '말해주다' 라는 뜻이어서 '그는 그 소식이 사실이라고 전해듣게 되었다'로 번역이 됩니다 또한 It is believed that S V 의 형태를 S is believed to R 의 형태로 바꿀 수 있다는 거까지 이해하신다면 be supposed to R가 왜 그런식으로 번역이 되게 되었는지도 이해되셨으리라 봅니다 어려운 내용이었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여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