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환경K] 커피찌꺼기는 애물단지? / KBS 2022.04.25.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https://news.kbs.co.kr/news/view.do?n... #환경K #커피 #카페 아침에 일어나서 한 잔, 식사 후에 또 한 잔. 커피는 현대인의 일상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잽니다. 그런데 우리가 커피를 마시고 난 뒤, 그 찌꺼기는 어떻게 될까요. [문지현/전북환경운동연합 활동가 : "커피를 마시면 100%의 커피 중에 0.2%만 커피 추출물로 나오고요. 나머지 99.8%가 쓰레기로 가요. 대부분 커피숍에서 나오는 커피찌꺼기가 생활계 쓰레기로 해서 소각이나 매립으로 갔거든요. 워낙 양이 방대하다 보니까 이것들이 쓰레기로 가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다들 많이 공감하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전라북도에 등록된 커피전문점 수는 2천6백여 개. 가게 한 곳에서 하루 2킬로그램씩만 버린다고 가정해도 매일 5톤이 넘는 커피찌꺼기가 버려지는 셈입니다. 장애인과 어르신들의 일자리를 마련해주는 군산의 한 사회적기업에선 일주일에 두세 번, 몇 군데 커피전문점에 들러 커피찌꺼기를 수거합니다. [문지원/‘A’카페 사장 : "이거를 처리하기가….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지금은 이렇게 수거를 해가시니까 종량제봉투도 아끼고 그런 이점이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장애인들과 함께 커피전문점을 열었다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쏟아져나오는 커피찌꺼기를 다시 쓸 수는 없을까, 고민하게 됐다는 김한희 씨. [김한희/사회적기업 '감사합니다' 대표 : "버려지는 커피박이 하루에 10리터 정도, 종량제봉투로 발생하고 있더라고요. 그래서 '이 커피박으로 100% 새활용만 한다면 친구들이나 취약계층들에게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어서…."] 2019년, 새로운 시도를 시작합니다. 수거해 온 커피찌꺼기를 볕 좋은 날 자연 건조로 일주일. 기계로는 만 하루 동안 바싹 말립니다. 여기에 특허받은 원료를 혼합해 점토 형태로 반죽을 하고 일일이 손으로 빚어 화분이나 연필을 만드는 건데요. 완성된 제품은 공공기관이나 학교 등에 판매합니다. [이상근/사회적기업 '감사합니다' 팀장 : "커피 기호가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커피찌꺼기도 많이 발생하는데 이를 폐기물로 처리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음으로써 우리 장애인 친구들, 또 노인 일자리를 같이 창출할 수 있는 좋은 사업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근엔 커피찌꺼기를 활용하는 다양한 업체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군산의 경우처럼 화분이나 비누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거나 축사의 냄새 제거를 위해 깔개를 만들고 퇴비로도 씁니다. 지난 3월엔 환경부가 커피찌꺼기를 생활폐기물이 아닌 순환자원으로 인정해 자유롭게 재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기도 했습니다. [문지현/전북환경운동연합 활동가 : "커피찌꺼기는 허가받고 신고한 사람에 한해서만 재활용을 할 수 있었거든요. 그런데 이제 일반 사람들도 허가나 신고 없이 재활용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된 거죠. 조금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게, 법으로 명시가 된 게 아니고 환경부에서 고시만 한 거거든요. 그런데 더 많은 자원이 재활용되려면 실제로 자원순환기본법이 조금 개정돼야 할 필요가 있는 거죠."] 이제 걸음마를 떼기 시작한 커피찌꺼기 재활용, 수거부터 활용까지의 순환 체계가 마련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텐데요. 가정에서부터 실천해보는 건 어떨까요. 송은아 씨는 매일 커피를 마신 뒤 찌꺼기를 따로 모아 말립니다. 흙과 잘 섞어 화분에 넣어주면 질소와 인, 칼륨 등이 풍부한 퇴비가 됩니다. 이미 알려진 것처럼 신발장이나 냉장고, 화장실 등에 두고 탈취제로도 사용합니다. [송은아/군산시 산북동 : "제가 커피찌꺼기를 모아서 다른 분들한테 선물도 하거든요. 저랑 같이 동참해서 화분도 한 번 만들어보시고 탈취제도 만들어서 여기저기에다 활용을 많이 하시더라고요. 이게 솔직히 다 쓰레기잖아요. 쓰레기로 버리지 마시고 재활용해서 다 같이 깨끗한 환경 한 번 만들어봤으면 좋겠습니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에서만 무려 14만 9천여 톤의 커피찌꺼기가 발생했고 이를 소각하면서 40만 톤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됐습니다. 커피를 사랑하는 만큼 환경엔 큰 부담이 되어가는 커피찌꺼기. 자원으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