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수원시 매항동 경기도당굿 무형문화재98호 2021년11월24일 은하수TV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경기도도당굿(京畿道都堂天)은 음력 정월이나 삼월 또는 10월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굿으로, 양주 일부지역을 포함하여 한강 이남과 서해의 덕적도 등의 섬에서 널리 행해졌던 굿이다. 예전에는 집의 모양이거나 짚으로 만든 터주가리 또는 큰 나무, 돌 등을 마을의 수호신으로 삼아 도당신이 머무는 곳, 즉 도당(都堂)이 마을마다 있었다. 이 도당에서 혹은 이곳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마을 사람 모두가 하나 되는 대동의 굿판을 벌였는데 이를 도당굿이라고 한다. 1990년 10월 10일 국가지정무형문화재 제98호로 지정되어, 2021년 2월 사단법인 국가무형문 화재 경기도도당굿보존회를 결성하여 경기도도당굿의 전승과 발전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도당굿을 비롯한 경기 남부지역의 굿에 등장하는 음악은 태평무 등의 춤을 탄생시키는 토대가 되었다. 남도의 시나위와 맥이 닿아있는 도살풀이의 선율 등이 특이하다고 하겠으며, 특히 제석거리에 당금애기의 본풀이가 있고, 다른 갈래의 굿에서는 집을 처음지은 황우양씨의 신기한 이야기로 된 성주풀이도 있고, 나쁜 것들을 몰아내고 복을 불러오는 춤과 축원 덕담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다. 그래서 여기의 굿이 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이라고 할수 있다. 돌돌이 오진수, 김순중 돌돌이는 마을굿의 성격을 결정하는 매우 특징적인 굿거리이다. 이 굿거리는 마을의 경계면을 돌면서 대동의 의미를 다지는 굿거리이다. 다른 지역에서 세경돌기, 유가, 집돌이 등의 말을 쓰는데 이들과 성격이 상통한다. 군웅신격을 알세우고 마을의 집과 경계면에 서 있는 장승, 그리고 공동우물 등을 돌아다니며 판패개제의 고사를 한다. 거리부정 승경숙 당주집에서 도당으로 가는 길에서 부정을 물리는 의식이다. 간단히 상을 차려두고 미지가 잿물을 둘러내고 난 후 혹은 잿물 아래로 굿상과 삼현육각 등 모든 행렬이 지나간다. 장문잡기 오진수 돌돌이를 끝내고 도당굿의 굿터에 도착하면 당할머니가 볏섬위에 앉고 삼현육각을 연주하고 나면 당할머니와 집사가 서로 수인사를 하고 관원들의 신참례를 흉내낸다. 이 마을에 광대나 고인이 있으면 재주를 보이고 여러 가지 창부가 단가를 부르기도 한다. 장문잡기는 엄숙한 의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부정청배, 선부정긋 변진섭, 김정분 화랭이(산이)의 앉은 부정과 무녀의 선부정이 겹으로 진행되는 특징을 보이게 된다. 부정굿은 굿청에 모인 모든 사람 들의 부정을 풀어버리고 잡귀. 잡신이 굿판에 범접하지 못하도록 하는 재차이다. 부정을 가시고 도당신을 모시기 위한 본격적인 청배의 앞에서 진행하는 굿거리이다. 도당모시기 고현희 산바라기라고도 하며 전국 각처 명산의 산신을 청배해서 모셔 들이는 제차다. 무당은 홍천릭에 빗갓을 쓰고 부채와 방울을 들고 전국명산의 산신을 청배한다. 축원을 마친 후에는 모인 사람들에게 잔작을 한다. 산신을 주로 섬기는 전 통에서 비롯된 굿거리이다. 시루청배, 시루돈음 오진수, 김순중, 승경숙 대동시무를 굿 상 앞에 놓고 세상이 생긴 내력부터 시작하여 각종 신격들을 청배해 마을의 안녕과 가정의 평안을 기 원한다. 이 굿거리에서 산이들이 오니섭체 장단에 선문이와 후문이가 대한국과 소한국을 다스리게 된 내력을 길게 구연한다. 이어서 미지가 시루를 잡고 마주않은 미지가 비손으로 고사를 한다. 살풀이 이철진 살풀이 춤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춤중의 하나이다. 경기도당굿에 영향을 받은 이번 한영숙류 살풀이춤은 한국의 미 의식인 정중동. 동중정을 가장 잘 표현한것로 평가 받고 있다. 제석 청배, 제석굿 김영은, 승경숙 제석굿은 볼거리와 들을거리가 풍부한 굿거리이다. 먼저 산이가 제석청배를 하고, 이 청배가 끝나면 무당이 부정놀이 장단에 맞추어서 춤을 추다가 섭채장단에 무가를 부르고, 다시 부정놀이와 덩덕궁이에 맞추어 춤을 춘다. 이어서 당공수 놀림, 장삼춤, 바라줌. 공수 등을 연행한다. 바라를 팔면서 자손들에게 명과 복을 준다. 화성재인청류 신칼대신무 신예담 경기무형문화재 제8호 승무실풀이 전승교육사 화성재인청류 신칼대신무는 이동안이 안무한 춤으로 어떤 임금의 임종을 맞은 한 공주가 부친의 저승길에 잡귀의 침범을 막고 그 길을 닦아 명복을 비는 내용의 춤이다. 신장대감긋 고현회 신장굿에서는 오방신장기를 뽑게 하여 재수를 가려보고 공수를 주며 대감긋은 굿판에 모이는 많은 대감들을 기쁘게 함으로써 인간들에게 재복을 준다. 신장, 대감은 굿거리 중에서 가장 떠들썩하고 흥겨운 거리고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전통적인 한양굿의 한 거리를 도당굿에서 보여준다. 손굿 유홍란 손굿은 과거에 천연두나 마마 같은 병이 있을 때 손신의 노여움을 타서 병이 돈다고 하여서 마마신을 잘 대우하는 굿거리다. 화랭이들이 손님노정기라고 하여서 손님신이 중국에서 해동 조선으로 나오는 과정을 엮는 노정기를 한다. 다양한 장단의 판매개제 소리를 하고, 더늠과 아니리, 그리고 재담을 적절하게 섞어서 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터벌림 목진호 화랭이들이 좁혀진 굿판을 넓히며, 자신들의 기예를 보여주는 여흥의 거리이다. 터벌림은 그루백이, 터잽이 등으로 달리 블리기도 한다. 이 터벌림 역시 산이들이 신명나는 쇠풍장을 보여주는 굿거리인데, 볼거리가 다양하고 신명난 놀이판을 전개하는 특징이 있는 굿거리이다. 군용청배, 군용국 목진호, 김순중 군웅굿은 여러 가지 성격을 지닌 굿거리이다. 도당굿에서는 군용굿을 하고 집굿에서는 조상굿을 한다. 산이가 가래조로 앉은 청배를 하고, 이어서 무녀가 부정놀이춤을 시작으로 청배, 방수밟이, 천근, 닭을 놀리는 군응머구리와 활놀음을 하여 수부를 막는 연행이 이어진다. 이어서 군웅상을 마주하고 화랭이와 무녀가 쌍군웅을 서고, 예전에는 화랭이가 이어서 군용노정기를 길게 하던 굿거리이다. 뒷전 오진수 화랭이가 뒷전을 할 때는 '의딩이' 라고 하는 재담꾼으로 변한다. 굿꾼과 어딩이 둘이서 재담과 춤, 소리를 하는 것이 이 굿거리의 특징이다. 어딩이가 날몰라타령등을 부르게 되며 중모리, 중중모리, 잦은모리 등에 맞추어서 판매개제 소리로 갖은 소리를 한다. 정업이라고 하는 허수아비를 갖고 갖은 수비, 영산 등을 풀어서 수부를 막고 나면 정업이를 된다. 매로 때리는 집장가를 부르고 나서 재담을 하면서 정업이를 들고 나가 들 밖에 나가서 불을 사르고 도당굿을 마치게 된다 경기도도당굿보존회 보존회장 승경숙 010-6362-1499 굥기도도당국보존회 사무국장 변진섭 010-2309-0205 봉원사 영산재 • 서울특별시 봉원동 제35회 봉원사 영산재 무형문화재50호 2023... 정발산 도당굿 • 고양시 마두동 정발산도당굿 2021년04월24일 은하수TV 계룡산 산신제 •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계룡산 전통산신제 2023년05월06일 은하수TV 연산군묘 청명제향 • 서울특별시 방학동 연산군묘 청명제향 2021년04월04일 은하수TV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 • 양주시 덕계동 덕계근린공원 양주상여와 회다지소리 2023년04월3... 진도 씻김굿 • 돈화문국악당 소원을말해봐 진도씻김굿 2019년07월09일 은하수TV 궁평항 풍어제1 •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궁평항 풍어제 2023년04월01일 은하수TV 정릉이야기 음악회 • 서울특별시 정릉동 조선왕릉 정릉이야기 음악회 2023년06월25일... 경기도당굿 • 수원시 매항동 경기도당굿 무형문화재98호 2021년11월24일 은... 덕수궁 수문장 교대식 • 서울특별시 정동 왕궁수문장 교대의식 2020년10월24일 은하수TV 양주별산대놀이 • 양주시 유양동 양주별산대놀이 2021년06월05일 은하수TV 삼각산 도당굿 • 삼각산 도당굿 2019년04월07일 08 은하수TV 성북동 선잠제 • 서울특별시 성북동 제27회 선잠제 2023년05월21일 은하수TV 건원릉 태조고황제 친향례 • 구리시 인창동 건원릉(동구릉) 태조고황제 친향례 2021년06월2... 봉화산 도당굿 • 서울특별시 신내동 봉화산도당굿 서울시 무형문화재34호 2022년0... 부처님 오신날 연등회1 • 서울특별시 종로 부처님 오신날 연등회 행렬 2022년04월30일 ... 양주 소놀이굿 • 양주시 백석읍 양주소놀이굿 2021년06월06일 은하수TV. 궁평항 풍어제2 •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궁평항 풍어제 2023년04월02일 은하수TV 부군당 도당굿 • 서울특별시 창전동 밤섬 부군당도당굿 서울시 무형문화재35호 202... 부처님 오신날 연등회2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가 연등회 연등행렬 2023년05월20일 ... 정조대왕 능행차 • 서울특별시 정조대왕 능행차 돈화문지역 2019년10월05일 은하수TV 진관사 국행수륙제 • 서울특별시 진관동 진관사 국행수륙제 무형문화재126호 2021년1... 조선왕릉 동구릉 • 구리시 인창동 조선왕릉 동구릉 2020년11월14일 은하수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