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KBS 인물현대사 – 사랑은 기적을 이룬다, 장기려 / KBS 2003.12.5 방송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이산의 아픔 삭이며 희생과 봉사의 삶 살다간 참의사 무료병원 운영과 청십자의료보험조합을 통해 인술(仁術)을 펼친 명의 장기려는 북녘에 두고 온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가슴에 묻고 지낸 민족분단의 희생자이기도 했다. 한국전쟁이 일어난 지 4개월만인 1950년 10월 19일 유엔군과 국군은 평양을 탈환했다. 당시 김일성의과대학 외과의사였던 장기려는 대학병원과 야전병원에서 부상병들을 치료하고 있었다. 그해 12월 중공군이 개입하면서 국군은 평양을 철수하게 되고 이때 장기려를 남으로 데려가기 위해 그를 환자수송용 버스에 태웠다. 그것이 가족과 45년에 걸친 긴 이별의 시작이 될 줄 몰랐다. 그는 언젠가 가족들을 만날 거라는 희망 하나로 부산에서 피난살이를 시작했다. 그러나 곧 다시 가족을 만날 거라 했던 그의 바람은 길고 긴 분단의 세월 속에 묻혀버리고 말았다. 장기려의 인생은 헤어진 가족을 향한 그리움으로 바쳐진 사랑과 기도였다.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평생을 바치다 의사 장기려의 가족에 대한 사랑은 황무지나 다름없던 우리 의료계에 가난한 사람도 치료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박애정신의 꽃을 피워냈다. 그는 의사란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직업의 차원을 넘어 신이 허락한 소명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처음 의사가 되기로 결심했을 때부터 의사 한번 못 보고 죽어가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평생을 바치겠노라고 맹세했다. 장기려는 경성의전에 들어가면서 신 앞에 한 이 약속을 생이 다할 때까지 지켜나갔다. 평생을 아프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인술을 펼친 의학박사 장기려. 그는 춘원 이광수의 소설 ’사랑‘의 주인공 안빈의 실제 모델로 알려져 있는 인물로 ’한국의 슈바이처‘ ’살아있는 성자‘로 불렸다. 이광수는 장기려를 가리켜 “당신은 성자(聖者) 아니면 바보요”라고 말했다. 장기려는 자신이 가난한 사람들을 도우면 북에 있는 가족도 누군가 도와줄 것이라고 믿음을 갖고 하루 200명이 넘는 환자를 돌보았다. 한국 최초의 의료보험조합, 청십자의료보험조합 병원 규모가 커지면서 무료진료가 불가능하게 되자 장기려박사는 1968년 ’건강할 때 이웃을 돕고 병났을 때 도움 받자‘라는 표어 아래 북유럽의 의료보험제도를 본 딴 청십자의료협동조합을 탄생시켜 한국 의료보험제도의 모태가 되었다. 먹고 살기도 힘들었던 그때, 주변의 몰이해와 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병의 고통으로 시달림을 받는 것으로도 슬픈데 가난한 사람에게 과중한 치료비를 부담시킬 수 없다는 신념 하나로 그는 한국 최초의 의료보험조합을 성공으로 이끌었다. 당대 최고의 외과의사 “나는 가진 것이 너무 많다” 장기려박사는 서울의대 전신인 경성의전을 수석 졸업하고 1959년 국내 최초로 간대량(肝大量) 절제수술에 성공하는 등 학문적으로도 당대 최고의 외과의사 중 한 사람이었다. 장기려는 한국 간외과학의 창시자로 평가된다. 장기려는 수술비가 없는 환자를 위해서 자기 돈으로 수술을 해주었다. 자기 월급으로 감당할 수 없게 되자 환자를 야밤에 탈출시키기도 했다. 평양 시절 그의 부인은 장기려가 생활비를 가져다주지 않아 의사 가운과 환자복 삯바느질로 생계를 꾸렸다. 그는 평생 자기 집을 갖지 않고 병원 옥상 24평 사택에서 살았다. 다른 사람이 모두 만날 수 있을 때 나도 가족을 만날 것이다 평생 봉사하는 삶을 산 장기려 박사. 그 자신은 분단 조국에 의한 피해자였다. 1.4후퇴 때 환자를 돌보는 와중에 부모와 부인, 5남매를 평양에 남겨두고 둘째 아들만 데리고 피난길에 올라 이산가족이 된 장박사는 평생 재혼하지 않고 고향의 가족을 다시 만날 날만 기다리며 살았다. 그런 그가 1985년 정부의 방북 권유를 거절했다. 혼자만 특혜를 누릴 수 없다는 이유였다. 장박사는 끝내 그리운 가족과 상봉하지 못한 채 1995년 성탄절 새벽에 생을 마감했다. 예수처럼 살고 싶었던 사람 절대빈곤 시절의 천막 무료진료부터 미래를 내다본 의료복지 정책인 ‘청십자의료조합’까지, 그것은 그의 사랑이 이뤄낸 기적이었다. 그는 예수처럼 살고 싶어했고 그렇게 살았다. 분단의 아픔을 환자에 대한 사랑으로 승화한 의사 장기려의 삶을 재조명한다. 인물현대사 22회 – 사랑은 기적을 이룬다, 장기려 (2003.12.5.방송) http://history.k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