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콤부차는 혈액을 깨끗하고 맑게 하는 효과 (콤부차 만들기) 홍차 버섯차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콤부차 효능) 콤부차는 시베리아와 중국에서 즐겨마시던 음료로 차에 설탕을 넣어서 발효한 발효음료입니다. 집에서 만든 콤부차라면 200ml당 당분 함량이 2~3g밖에 안대구요. 오렌지주스 15~20g, 콜라 23g인데 비해 매우 낮은 편이죠. 그래서 비교적 혈당 걱정 없이 마실 수 있는 음료가 콤부차 입니다. 보통 홍차에 설탕 10% 기존의 콤부차 배양액 10% 그리고 스코비라고 하는 균체를 넣어서 발효하게 되는데 여기에 넣는 설탕은 우리를 위한 것이 아니라 스코비에게 줄 먹이이고요 발효과정에서 찻물에 녹인 설탕을 먹고 스코비가 자라나게 됩니다. 스코비, SCOBI (Symbiotic Culture Of Bacteria and Yeast)의 앞글자만 딴 이름으로 말 그대로 박테리아와 효모가 서로 공생해서 자라고 있는 균체입니다. 이 안에서 가장 유명한 효모균은 사카로미세스(Saccharomyces cerevisiae)인데 빵과 와인에 넣어주는 효모입니다. 이 효모들이 당분을 먹고 나서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뱉어냅니다. 그런데 스코비 안에는 술을 좋아하는 박테리아도 있고, 아세트산 박테리아(AAB)가 효모가 뱉어낸 술을 먹고 아세트산을 만들어내고 동시에 균들의 침대 역할을 하는 셀룰로스 막을 생성합니다. 모양이 버섯의 갓 모양과 비슷하기도 하답니다. 그래서 홍차버섯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스코비로 설탕 넣은 찻물을 발효하면 알콜발효와 초산발효가 모두 일어나기 때문에 콤부차는 식초처럼 시큼한 맛이 나고 알콜 성분도 약간 남아 있게 됩니다. 그래서 콤부차는 식초와 유산균 음료 그리고 원재료인 찻물의 건강상의 효능을 조금씩 다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콤부차의 효능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천연발효식초와 마찬가지로 혈당강하, 혈중지질감소,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결국 혈액을 깨끗하고 맑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심장병, 치매 등에 도움이 되는데, 콤부차가 식초와 다른 점으로 식초에는 없는 락토바실러스 계열의 프로바이오틱스도 풍부하기 때문에 장에도 좋은 영향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녹차나 홍차로 마실 때와 이를 발효해서 콤부차로 마실 때와 효능이 어떻게 달라지나하면 백차, 녹차, 홍차, 루이보스차 4가지를 스코비로 14일간 발효하여 만든 콤부차를 비교한 결과 몇 가지 놀라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콤부차로 발효하는 과정에서 차에 함유되어 있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능력도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발효가 찻잎의 세포벽 구조를 파괴하여 더 많은 항산화 화합물의 유리와 합성을 유도하고 또 차에 포함된 카테킨도 발효 과정에서 더 단순한 입자로 분해되어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발효가 될수록 증가해서 14일째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반전은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력이 가장 높은 것은 녹차로 만든 콤부차였고, 그 다음이 백차와 루이보스 콤부차였고, 홍차로 만든 콤부차가 가장 낮게 나타났어요. 그래서 콤부차를 집에서 직접 만들어 드실 때는 맛 때문이라면 모르지만 홍차를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녹차를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또 카페인이 없는 콤부차를 원한다면 루이보스차로 만들어 드셔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