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여래를 보라 — 금강경이 말한 궁극의 깨달음 | 당신 안의 여래(道)를 보는 법 | 견성(見性)은 여래를 보는 일이다 | 금강반야바라밀경의 핵심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여래란 무엇인가 여래는 인격체가 아니라 도(道), 법(法), 열반, 공(空) 그 자체이다. 즉, 모든 것의 근원이며 진실한 실상이다. 부처님 말씀: “법을 보는 자는 여래를 보고, 여래를 보는 자는 법을 본다.” 왜 여래를 봐야 하는가 여래를 본다는 것은 곧 자신의 근원과 정체를 깨닫는 것이다. 당신의 본래 자성(自性)이 바로 여래, 즉 도(道)이다. 부처님이 말씀하신 “자등명 법등명”은 내면의 여래를 등불로 삼으라는 뜻이다. 여래를 보기 위한 첫걸음 참과 거짓을 분별해야 한다. 오온(色受想行識)은 ‘나’가 아니다. 무상(無常)하고 변하는 것은 모두 가짜이며, 변하지 않는 것이 진짜, 즉 여래이다. 도(道)의 본질 도(道)는 스스로 존재하며, 다른 것에 의존하지 않는다. 연기법에 속하지 않으므로 무위법(無爲法)이다. 세간의 모든 것은 유위법이지만, 도(道)는 초월적 진리이다. 다른 종교에서는 이를 신(神) 혹은 창조주라 부른다. 여래를 보는 수행법 시선을 내면으로 돌려라. 여래는 바깥이 아니라 당신 안에 있다. 마음을 고요히 하라. 여래는 고요함(寂靜) 속에서 드러난다. 두 가지 관문을 넘어야 한다. (1) 고요함을 ‘공허함’으로 오해하지 말 것. (2) 고요할 때 치솟는 ‘두려움’을 극복할 것. 마음이 완전히 고요해지면, 순간적으로 “아, 이것이구나!” 하고 돈오(頓悟) 한다. 여래를 본다는 것의 의미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찰나에 ‘앎’으로 깨닫는 것이다. 그 상태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지만, 느낌으로는 “무한함, 완전함, 영원함”이다. 그것이 곧 당신의 본래면목, 진짜 ‘나’이다 여래를 본다는 것은 곧 자신을 아는 것, 자신의 근원인 도(道)를 깨닫는 것이다. “여래를 보라” 이것이 금강경의 궁극적 가르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