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뉴스데스크]한우 영세농가 어쩌나... 폐업 속출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ANC▶ 우리 지역에서 소 키우기를 포기하는 농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스무마리가 안되게 키우는 영세 농가들이지만 정부 대책은 없습니다. 이러다 한우 사육기반이 무너지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첫 소식 문연철 기자입니다. ◀VCR▶ 20년 넘게 한우 사육 한 길만 걸어온 고재규씨, 한우값 폭락으로 키울 수록 빚덩이만 불어나는 현실을 감당하지못하고 소 사육을 접기로 했습니다. ◀INT▶ 고재규(한우사육농가) "계속 사료값은 인상돼 도저히 타산이 안나와요.그래서 이번에 더 손실을 보기전에 폐업하는 게 낫겠다.." 정부가 FTA 피해보전을 위해 폐업 신청을 받은 결과 열 농가 중 한 농가 꼴로 폐업을 신청했습니다. (전남 폐업신청 한우농가 2,752농가(전체 11%)) 특히 사육 두수가 20마리 이하인 영세농가에서 신청이 집중됐습니다. ◀INT▶ 권두석 전라남도 축산정책과장 "전체적으로 봤을 때 사료비는 상승하고 소값은 주춤거리고 있어 실질적으로 경영압박때문에 폐업을 신청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폐업 신청 마릿수도 전체 10%에 이르지만 침체된 한우가격이 회복될 지는 미지수입니다. 소값 침체의 가장 큰 원인은 적정수준을 넘어선 사육마릿수 , 농가가 폐업하더라도 마릿수 감소로는 이어지지않을 거라는 게 축산업계 전망입니다. ◀INT▶ 나상옥(목포무안신안축협장) "시장흐름에 맞춰 폐업을 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그 양이 없어져야하는데 톱니 쳇바귀 돌 듯이 사육하는 농가가 다시 사가게 됩니다.그래서 사육두수가 줄어드는 게 아니고 다만 농가만 축소되는 거죠." 대규모 폐업으로 영세농가의 퇴출과 사육 규모 확대라는 한우농가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문연철입니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