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우리 시대의 소설] 길 위에 놓인 삶…김주영 ‘객주’ / KBS 2021.11.29.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우리 시대를 빛낸 소설 50편을 차례로 만나보는 시간이죠. 오늘 소개할 작품은 김주영의 대하소설 '객주'입니다. 조선 시대 가장 천대받았던 상인, 보부상들의 삶을 다룬 소설인데요. 1980년대 신문 연재부터 큰 인기를 끌었고, 이후 만화와 드라마로도 만들어지며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입니다. 유동엽 기자가 김주영 작가를 만났습니다. [리포트] 누군가 내딛는 발걸음. 그 걸음이 반복된 곳에 길이 생겨납니다. 두 발이 곧 교통수단이던 시절. 어느 산기슭이든 그렇게 길이 이어져 있었습니다. ['객주' 중에서 : "사내는 부지런히 길을 줄이다가 문득 개천으로 내려가는 자드락길로 바꾸어 잡았다."] [김주영/소설가 : "가장 빠른 길 그걸 지름길이라고 하잖아요. 지름길일수록 이런 자드락길이 많았죠. 자드락길도 사실은 보부상들이 많이 쓰던 말입니다. 옛날 사람들은 많이 쓰던 말이에요."] 머리에 이고, 등에 지고. 산길을 넘나들며 물건을 팔았던 상인들이 소설의 주인공. 세상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을 몸에 지니고 다녔던 보부상에게 작가는 동질감을 느꼈습니다. [김주영/소설가 : "고통 같은 것, 또 외로움 같은 것, 다 이 가슴속에 묻고 또 지고 다녔죠. 가만 생각해보면 작가도 그런 거 아니냐."] 어떤 역사책에도 기록되지 않은 이름 없는 보부상들의 일상은 마침내 대하소설이 됐습니다. [김주영/소설가 : "역사의 행간에서 그대로 배설돼버린,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로 열 권의 소설이 완성되었다. 역사소설로서는 성과가 아니겠느냐 그렇게 생각하죠. 잘 썼다, 못 썼다 그것보다도..."] 길 위에서 벌어지는 의리와 배신, 복수와 치정으로 독자들을 끌어들이면서도, 19세기 풍경을 되살리기 위해 작가는 전국의 장터를 돌며 보부상의 흔적을 찾고 또 찾았습니다. [김주영/소설가/1995년 인터뷰 : "이 소설에 나오는 육담은 바로 그러한 계층의 사람들이 흔히 쓸 수 있는 말을 찾아서 씀으로 해서 소설의 현장감을 높여준다, 이런 생각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죠."] 잊혀가던 생생한 우리말들은 작가의 취재노트에 담겨 다시 생명력을 얻었습니다. [김주영/소설가 : "맷고기. 맷고기는 썰어서 파는 고기를 맷고기라고 하는거죠. 요새는 사라진 말이죠. 맷고기를 누가 알겠어요?"] [하응백/문학평론가 : "우리말의 아름다움, 고아함, 이런 것을 잘 살려서 품격을 잃지 않는 소설이다. 그러니까 우리말의 사전 같은 구실도 하는 그런 소설입니다."] 등단 50년, 수십 편의 소설로 수많은 독자를 만나온 소설가. ['객주' 중에서 : "걷고 또 걸어도 문득 고개를 들면 그는 길바닥에 서 있는 자신을 발견하곤 하였다."] 평생 걸어온 길에서 소설의 주인공처럼 느끼는 외로움은, 82살의 작가를 다시 새로운 창작으로 이끄는 힘이기도 합니다. [김주영/소설가 : "재주라고는 글 쓰는 일뿐이니까. 거기에 집착할 수밖에 없죠. 그런데도 성취감은 잠시, 외로움에 빠지고. 운명 같아요."] KBS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소설 #객주 #조선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