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멜라콩 다리'를 건넌 적이 있나요? (2023.06.04/뉴스데스크/목포MBC)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목포MBC 뉴스] ◀ANC▶ 호남선의 종착역인 목포역에는 숨은 그림 같은 표지석이 있습니다. 작은 돌에 새기지 못할 큰 사연이 담겨 있는데요. 단어로 풀어보는 챗MBC, 오늘은 목포 멜라콩 다리 이야기를 허연주 앵커가 전해드립니다. ◀END▶ ◀VCR▶ EFFECT 열차는 날마다 삶을 싣고 달렸습니다. 무거운 몸이 더 이상 갈 곳 없던 종착역. 그는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역사(驛舍)를 지켰습니다. 승객들의 짐을 들어 옮겨주던 그는 이름 대신 사무라이 영화 속 극중 인물을 닮았대서 별명으로 통했습니다. ‘멜라콩’ 박길수 씨. ◀INT▶ 강성복 동명동 주민 “눈이 쏙 들어가서 무섭게 생겼어요. 회색, 그분(수화물 취급 인력)들이 입었던 정장은 모자를 항상 반듯이 쓰고..." 고향 장흥에서 12살에 목포로 나온 박길수 씨의 평생 다짐은 ‘1년 1선(1年 1善)'. (s/u)1년에 하나라도 선한 일을 하겠다는 그가 목포역 앞에 다리를 놓은 건 지난 1964년 4월 20일입니다. 폭 5미터 가량의 ‘멜라콩 다리’ 당시 하천을 건너 목포역을 오가던 승객들의 불편을 가만히 지켜볼 수 없었던 까닭이었습니다. ◀INT▶ 강성복 동명동 주민 “(하천 때문에) 10여분 돌아서 가니까 굉장히 먼 거리예요. 그 짐을 싣고 돌아서 10분 20분 가면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지. 그걸 지름길을 만들어준 거예요.." 멜라콩의 기적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승객들을 위해 1년 뒤(1965.3) 역 광장에 무료화물보관소를, 다시 다섯 해가 지날 무렵(1970.10)엔 섬 주민들을 위한 무료 숙박시설을 건립했습니다. (돌출c/g) 영남 지역 등 전국의 중소도시까지 돌며 모금 운동을 벌여 이뤄낸 결과였습니다. ◀INT▶ 최성환 교수 목포대 사학과 “ 당시 신문 기록에는 20평 남짓 규모로 만든다고 되어 있어요. 지금 개념으로 생각해보면 괴짜는 괴짜인데 굉장히 시대를 앞서가는 도시재생, 사회복지 봉사활동의 선구자였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그가 목포역을 지킨 건 강산이 다섯 번 바뀔 시간인 48년. (c/g)물처럼 세월이 흘러 다리가 놓였던 하천은 도로가 된지 오랩니다. 떠난 자리에 남은 건 역 담장에 박힌 낡고 작은 비석 뿐. ◀INT▶ 정태관 대표*목포문화연대* “..표지석이 남아있는게 천만다행이고, 현재 저게 사람 눈에 전혀 띄지 않지 않습니까 지역 차원에서보면 표지석을 올려서 키워서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게끔..." 평생을 공동체와 이웃을 위해 정성을 쏟았던 멜라콩 박길수 씨. 가로 25cm, 세로 45cm의 보잘 것 없는 표지석에 담기엔 그의 선한 사연은 너무나도 차고 넘칩니다. MBC뉴스 허연주입니다. 지역사 채널의 동영상 링크( • '멜라콩 다리'를 건넌 적이 있나요?[목포MBC 뉴스데스크] ) #목포MBC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