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지식채널e이 상상한 학교 2045 | 우리는 괜찮을까?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지식채널e 20주년 특집 3부 우리는 괜찮을까? 2045년 미래세대에게 '지식'이란 무엇일까? 단숨에 수많은 정보를 찾고, 분석하고, 답을 도출하는 인공지능이 완전히 녹아든 세상. 미래에 ‘지식’은 어떤 의미가 될까. 9월 3일 방송되는 지식채널e 20주년 특집 3부는 2045년을 살아가고 있는 아이들과 학교의 모습을 상상해보고, 이를 통해 ‘지식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AI는 이미 수억 개의 언어와 데이터를 학습하며 인간의 기억, 분석, 활용 능력을 대신하고 있다. 교과서는 사라지고, 뇌와 직접 연결된 AI를 통해 책을 읽지 않아도 정답을 알 수 있는 학생들이 살아가는 시대. ‘똑똑하다’라거나 ‘창의력이 뛰어나다’라는 말조차 더 이상 의미 없는 미래가 온다면, 지식의 개념은 어떤 모습으로 바뀌게 될까? 우리는 무엇을 기억하고 사유할 것인가? 등의 질문을 통해 인간 고유의 사고와 교육의 의미를 다시 짚는다. AI와 함께 성장하는 아이들이 맞이할 세상은 단순히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회가 아니라, 인간만의 질문과 사유 능력이 위협받는 사회일 수도 있다. 이번 방송은 한빛미디어이사회 박태웅 의장, 서울대학교 철학과 천현득 교수,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김진해 부학장 등 세 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2045년의 지식을 상상하는 시나리오를 그린다. 기술 발전의 흐름, 철학적 사유의 가치, 인문학적 교육의 방향을 종합적으로 짚으며, AI 시대에도 인간 고유의 질문과 지식이 어떻게 지켜져야 하는지를 탐구한다. 2045년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상상은 단순한 미래 예측을 넘어, 오늘 우리가 어떤 교육과 사회를 만들어야 하는지 묻는 성찰의 기회가 될 것이다. 미래세대가 스스로 생각하고 질문하는 능력을 지켜나가는 방법을 고민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우리 삶 속에서 잠깐, 5분 의미있는 순간으로 만드는 채널 공유하고 쌓여가는 지식 🧠👀 ▶홈페이지 : https://jisike.ebs.co.kr/jisike ▶페이스북 : / ebs.jisik ▶인스타그램 : / ebs_jisik.e #AI #인공지능 #2045 #미래학교 #미래교육 #미래사회 #지식 #본질 #교육 #교육철학 #미래 #창의성 #사고력 #가상세계 #미래세계 #미래세대 #가상현실 #스마트교육 #포스트휴먼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병 #질문 #비판적사고 #사유 #기억 #학습 #뇌 #책 #교과서 #아이들 #학생 #인문학 #기술발전 #인간과기계 #교육가치 #고유성 #지혜 #사람다움 #미래세대 #AI세대 #인류의질문 #생각하는능력 #창조성 #EBS #지식채널e #20 #20대 #스무살 #청년 #MZ세대 #Z세대 #고용불안 #저임금 #최저임금 #알바 #아르바이트생 #아르바이트 #면접 #손님 #폭언 #민원 #학부모 #학생 #괜찮아? #취준생 #취업준비생 #위로 #준비 #좌절 #기록 #공감 #성찰 #불안정 #청년세대 #세대 #현실 #사회현실 #기록 #연대 #희망 #기억 #출산율 #진심 #눈물 #우울 #절망 #자존감 #자존심 #자신감 #행복 #사랑 #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