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노후화 심각’ 불안한 기반시설 중점 관리…32조 원 투입 / KBS뉴스(News)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우리나라 상당수 기반시설이 1970,80년대에 지어졌는데요, 노후된 시설로 인한 안전사고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32조 원을 투입해 대대적인 시설 보수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특히 수도관과 통신구같은 지하시설물에 대한 관리가 강화됩니다. 이슬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1977년 준공된 이 고가도로는 지난해 안전진단에서 긴급 보수가 필요한 'D등급'을 받았습니다. 콘크리트 골조가 낡아 상판에 구멍이 뚫리는 등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서울시 시설물 담당자 : "(콘크리트) 슬라브가 펀치(구멍)도 나고 등등 상황이 잦았어요. '슬라브 전면교체가 필요하겠다'고 해서 지금 추진중에 있습니다."] 전국 저수지의 96%, 댐 45%, 철도 37%가 지은 지 30년이 넘은 상황. 정부는 기반시설의 안전을 위해 유지보수 예산을 크게 늘리기로 했습니다. [박선호/국토교통부 1차관 : "안전투자가 연 평균 8조 원, 4년간 32조 원 수준으로 확대되는만큼 지역경제의 활성화는 물론, 신규 일자리의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땅 속 낡은 시설물도 안전 대책이 마련됩니다. 설치한 지 20년 이상 된 노후 송유관과 통신구가 전체의 90%를 넘습니다. 누수와 부식 등 문제가 드러난 열수송관과 가스관, 송유관 등은 올해 안에 긴급 보수를 마칠 계획입니다. 최근 불이 난 통신구와 전력구 등은 케이블을 난연재로 바꾸고 시설물안전법상 관리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땅꺼짐 현상을 유발하는 노후 하수관로 1,500여 킬로미터도 교체합니다. 시설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는 2023년까지 완성합니다. 슈퍼지하시설물 15종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공사 중 관로 파손을 줄이고 사고 대처도 신속해질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