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실패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56개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실패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실패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56개] 1) 不踏覆轍(부답복철):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 萬無一失(만무일실): (1)조금도 축남이 없음. (2)실패하거나 실수할 염려가 조금도 없음. 3) 前轍(전철):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4) 百無一失(백무일실): 무슨 일이든지 실패하는 것이 하나도 없음. 5) 萬全之計(만전지계):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6) 築室道謀(축실도모): 집을 짓는데 길손에게 묻는다는 뜻으로, 집을 지으면서 길가는 사람들에게 방법을 물으니 사람마다 딴소리를 하여 집을 완성하지 못했다는 것에서, 쓸데없는 의논을 하여 실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7) 逐鷄望籬(축계망리):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는 뜻으로, 애써 하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남보다 뒤떨어져 맥이 빠진 경우를 이르는 말. 8) 到處狼狽(도처낭패): (1)하는 일마다 실패함. (2)가는 곳마다 변(變)을 만남. 9) 刻鵠類鶩(각곡유목):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10) 七顚八起(칠전팔기):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일어난다는 뜻으로, 여러 번 실패하여도 굴하지 아니하고 꾸준히 노력함을 이르는 말. 11) 失馬治廐(실마치구): 말을 잃고 외양간을 고친다는 뜻으로, 실패한 뒤에 늦게 손을 대는 것을 비유들어 이르는 말. 12) 百事不成(백사불성): 여러 가지 일이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음. 또는 하는 일마다 실패하여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13) 轉敗爲功(전패위공): 실패가 바뀌어서 오히려 공이 됨. 14) 百折不撓(백절불요): 어떠한 난관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15) 事無二成(사무이성): 일은 두 가지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번에 두 가지 일이 모두 이루어질 수 없어 적어도 한 가지는 실패한다는 의미. 16) 弄瓦之慶(롱와지경): (1)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농와지경’의 북한어. 17) 萬全策(만전책):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18) 兵家常事(병가상사): (1)실패하는 일은 흔히 있으므로 낙심할 것이 없다는 말. (2)군사 전문가도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일은 흔히 있는 일임을 이르는 말. 19) 窮人謀事(궁인모사): 운수가 궁한 사람이 꾸미는 일이라는 뜻으로, 일이 뜻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20) 前車可鑑(전거가감): 앞수레가 엎어진 것을 보고 뒷수레가 경계(警戒)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말로, 전인(前人)의 실패(失敗)를 보고 후인(後人)은 이를 경계(警戒)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 21) 事事無成(사사무성): 한 가지 일도 이루지 못하거나 하는 일마다 다 실패(失敗)함. 22) 上下寺不及(상하사불급): 위로도 아래로도 모두 미치지 못함. 또는 두 가지 일이 모두 실패하게 됨. 23) 前覆後戒(전복후계): 앞에서 전복되면 뒤에서 경계한다는 뜻으로, 앞 수레의 전복이 뒷 수레의 경계가 되듯이 앞사람의 실패를 보고 뒷사람은 경계를 삼아야 한다는 의미. 24) 未成一簣(미성일궤): 산을 만들 때에 마지막 한 삼태기를 덜 얹어 산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뜻으로, 마지막 노력을 소홀히 하면 일이 실패함을 이르는 말. 25) 前車覆轍(전거복철): 앞에 간 수레가 뒤집힌 바퀴 자국이라는 뜻으로, 앞의 실패를 본보기 삼아 주의함을 이르는 말. 26) 每事不成(매사불성): 하는 일마다 실패함. 27) 前車覆後車戒(전차복후차계): 앞에 가는 수레가 엎어지면 뒤에 가는 수레는 그것을 보고 교훈(敎訓)을 삼는다는 뜻으로, 앞 사람의 실패(失敗)를 교훈(敎訓)으로 삼는다는 뜻. 28) 弄瓦(농와): (1)‘농와’의 북한어. (2)딸을 낳은 즐거움.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29) 狼狽(낭패): (1)‘낭패’의 북한어. (2)계획한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나 매우 딱하게 됨. 30) 萬全之策(만전지책) 31) 殷鑑不遠(은감불원) 32) 痛定思痛(통정사통) 33) 七顚八倒(칠전팔도) 34) 東山再起(동산재기) 35) 咆虎陷浦(포호함포) 36) 覆轍(복철) 37) 畵龍類狗(화룡유구) 38) 弄瓦之喜(농와지희) 39) 善敗由己(선패유기) 40) 齊紫敗素(제자패소) 41) 東敗西喪(동패서상) 42) 蛇足(사족) 43) 亡羊(망양) 44) 十顚九倒(십전구도) 45) 亡牛補牢(망우보뢰) 46) 以卵擊石(이란격석) 47) 畵蛇添足(화사첨족) 48) 捲土重來(권토중래) 49) 無面渡江東(무면도강동) 50) 無面渡江(무면도강) 51) 描虎類犬(묘호류견) 52) 場中得失(장중득실) 53) 覆車之戒(복거지계) 54) 三日天下(삼일천하) 55) 亡羊補牢(망양보뢰):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어떤 일을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원래는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실패해도 빨리 뉘우치고 수습하면 늦지 않는다는 말로 쓰였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56) 刻鵠類鵝(각곡유아):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실패에-관한-한자-한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