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자막뉴스] 입금하자마자 '이럴 수가'...신출귀몰한 당근 사기 / YTN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수원에 사는 A 씨는 지난달 당근에서 한 모 씨와 외화 직거래 약속을 잡았습니다. 동네 인증이 되어 있는 데다가 괜찮은 거래 후기들도 있어서 별다른 의심은 하지 못했습니다. 약속된 시간에 맞춰 한 씨 집 앞으로 찾아간 A 씨, 그런데 한 씨는 갑자기 사정이 생겨 집을 비웠다며 계좌이체를 요청했습니다. [A 씨 / 수원 당근 직거래 사기 피해자 : 아이가 아파트에 있는데 밖으로 나올 수 있으니까 먼저 돈을 보내주면 (아이를 시켜서) 집 문 앞에다가 물건을 놔두겠다고 해서….] 한 씨의 개인정보를 여럿 알고 있는 데다 아이까지 키운다는 말에 A 씨는 별 의심 없이 125만 원을 입금했는데, 돈을 보내자마자 연락이 끊겼습니다. 알고 보니 같은 날 한 씨와 직거래 약속을 잡은 사람은 A 씨만이 아니었습니다. 청주에 사는 B 씨도 비슷한 시간대에 한 씨와 직거래 약속을 잡았고, 똑같은 수법으로 135만 원을 사기당했습니다. [B 씨 / 청주 당근 직거래 사기 피해자 : (한 씨 당근 계정으로) 채팅도 막 와 있었고 거래 완료 글도 있었는데…. 제가 (한 씨 피해자들한테) 채팅을 걸어서 단톡방을 한 개 만들었어요. 10명 정도 있는 것 같아요.] 80km나 떨어진 두 곳에서 비슷한 시간대에 벌어진 신출귀몰한 사기. 어떻게 가능할까. 이에 대해 당근 측은 "동네인증 시스템을 악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한 계정에 최대 두 개 지역까지 위치를 인증해서 쓸 수 있도록 하는 당근의 시스템을 이용했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한 씨 계정은 영구제재 조치했고, 내부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계속 노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사기 범죄가 고도화되는 만큼,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안전장치를 최대한 이용하는 게 최선이라고 조언합니다. [이세일 / 경찰 출신 변호사 : 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해당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안전거래나 또는 직접 대면을 통해서 거래하는 방식, 이 두 가지 방식이 예방책입니다.] 피해자들의 고소장을 접수한 경찰은 한 씨를 사기 혐의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습니다. YTN 신귀혜입니다. 촬영기자ㅣ이승준 디자인ㅣ전휘린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