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디지털 매체의 본질적 특성은 무엇인가?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디지털 정보와 디지털 매체는 여전히 새로운 현상이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므로 많은 사람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습니다. 사이버 스페이스나 멀티미디어 같은 피상적이고도 잘못된 개념은 한때 널리 쓰이다가는 곧 사라져버리고 맙니다. 메타버스라는 개념도 마찬가지의 운명을 겪을 것입니다. 이러한 혼란을 피하고 디지털 매체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정보의 본질적인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어떤 기술이나 트렌드에 따라 반짝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특성이 아닌, 앞으로도 결코 변하지 않을 디지털 매체의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특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기호로 이루어진 세상 - 근간) 대중매체 시대의 아날로그 정보와 뚜렷이 구분되는 디지털 정보의 특성으로는 완전복제성, 즉각적접근가능성, 조작가능성 등이 있으며 디지털 매체의 특성으로는 상호작용성, 네트워크성, 복합성 등이 있다. 우선 완전복제성 (perfect duplicability)은 말 그대로 디지털 정보가 완벽하게 복제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아날로그 매체에 담긴 정보 (예컨대 마그네틱 녹음 테이프에 담긴 음성 정보)는 복제는 할 수 있지만 잡음이 끼어들게 되어 복제의 복제를 계속 반복한다면 궁극적으로 그 정보량은 0에 수렴하게 된다. 디지털 정보가 완벽하게 복제될 수 있다는 것은 그것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전혀 새로운 영역에 존재하게 됨을 뜻한다. 완전복제는 원본이 여러개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므로 똑 같은 것이 동시에 여기 저기에 존재할 수도 있고 하나의 원본을 한참 시간이 흐른 뒤 복제를 반복한다면 이론상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낡아가지 않고 영원히 존재할 수도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즉각적접근가능성 (random accessibility)은 디지털 정보는 검색어 등을 사용하여 즉시 검색해볼수 있음을 뜻한다. 예컨대 아날로그 매체인 종이 책에 들어 있는 특정한 정보를 찾기 위해선 처음부터 끝까지 그 책을 뒤적거려 보거나 책 뒷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인덱스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 종이책의 내용이 컴퓨터 파일로 되어 있다면 원하는 내용을 검색어로 넣어 얼마든지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정보는 그 자체가 하나의 인덱스의 역할 한다는 점에서 아날로그 정보와 구분된다. 수많은 각종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되고 있는 것도 다 디지털 정보의 즉각적검색가능성 덕분이다. 지금까지는 주로 텍스트 (문자열)에 대한 검색만이 가능해졌지만 인공지능의 패턴인지기술이 발달된다면 화상이나 소리정보에 대한 직접적인 검색도 가능해질 것이다. 네트워크성 (networkability) 은 디지털 정보는 유무선의 연결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음을 뜻한다. 물론 그러한 연결망의 범위는 한 개인의 몸에서부터, 가정, 회사, 공동체, 국가, 나아가 전지구가 될 수 있다. 이미 전지구적인 네트워크는 인터넷과 저궤도위성망을 통해 실현되었으며 현재는 한 개인이 지니고 다니는 작은 웨어러블 컴퓨터를 연결하는 퍼스널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한창이다. 복합성 (multimodality)은 문자, 사운드, 화상 등 여러 가지 종류의 디지털 정보가 한데 어울어져 하나의 텍스트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 매체는 처음 멀티미디어라고 불릴 정도로 복합매체성은 초기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복합매체성은 디지털 정보가 동등한 질 (homogeneous quality)을 갖기 때문에 가능하다. 아날로그 정보의 경우, 음성은 녹음기를 통해 녹음테이프에, 화상은 카메라를 통해 필름에, 텍스트는 펜으로 종이 위에 하는 식으로 별도의 처리 기기와 저장매체를 필요로 했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는 그것이 음성이건 화상이건 문자이건 간에 모두 비트라는 동일한 형태로 존재하며 따라서 하나의 기계 (멀티미디어 컴퓨터)로 처리하고 송수신하고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눈과 귀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손으로 만지고 온 몸으로 느끼는 (tangible and haptic) 인터페이스도 점차 보편화될 것이다. 조작가능성 (manipulatability)은 디지털 정보의 완전복제성과 즉각적접근가능성의 결과로 생긴 일종의 "편집가능성"이다. 물리적 사물의 고정적 형태에 의존하는 아날로그 정보는 조작하고 변환시키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는 어떤 형태의 정보든 어떤 부분이든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다. 디지털 사진이나 디지털 녹음은 사실 얼마든지 변환가능한 것이므로 결국 특정한 사건에 대한 "증거"의 역할을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작가능성은 이미 컴퓨터그래픽을 통해 실제로 카메라로 찍은 듯한 생생한 영상을 영화 속에 구현하고 있다. ----- #기호로이루어진세상 #내면소통 #명상 #기호 #기호학 #매체발전의역사 #디지털매체 #디지털미디어 #디지털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