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좋은 곳에서 싼 값에 오래…‘사회주택’ 대안 될까? / KBS뉴스(News)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청년층의 주거빈곤율은 전체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습니다. 그런데도 정부의 주거지원 대상에서는 상대적으로 소외돼 왔는데요. 최근 청년 주거지의 대안으로 '사회주택'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곳은 원래 낡은 고시원이었는데 청년층을 위한 이른바 '사회주택'으로 재탄생됐습니다. 청주에서 온 이 대학생은 시설과 비용을 따져보고 이곳에 정착했습니다. 월세가 29만 원인데 주변 시세의 70% 정도입니다. [이미진/대학생 :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하듯이 계속 거주비 마련하려고 아르바이트하고 취업 준비도 제대로 못 하고… 여기는 다 1인실로만 구성돼 있는데도 다른 데보다 저렴하더라고요."] 이 씨는 이곳에 최장 10년까지 살 수 있는데, 임대료도 상한선이 있어 걱정이 덜합니다. '사회주택'은 청년층을 위한 민관 협력 주택사업을 일컫는데, 집 지을 땅이나 낡은 건물을 지자체가 마련해주면 민간 건설사가 아닌 사회적 기업이 이걸 이용해 집을 지어 청년층에 빌려주는 방식입니다. 사업자는 임대료를 많이 못 올리는 대신 땅값을 들이지 않아도 되고 지자체는 낡은 빈집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회주택은 청년 신혼부부의 보금자리로도 제공됩니다. 보증금 1억 1천만 원에 월세 20만 원인 이곳은 이 일대에선 가장 저렴한 조건입니다. [서성민·배영은/신혼부부 : "10년까지 지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주거가 불안정한 이런 주거환경에서 그나마 그때까지는 편안하게 살 수 있는 장치인 것 같아서."] 사회주택을 짓는 사회적 기업은 전국적으로 68곳, 서울 8백여 호를 포함해 경기 시흥, 전북 전주 등에 지금까지 1천 호의 주택을 지었습니다. [김종식/'녹색친구들' 대표 : "영리적 시장에서 하지 않고 있는 공공성 높은 임대주택을 지을 순 없을까, 그래서 주거 사각지대를 메울 순 없을까 해서…"] 지자체 조례에 의존해 운영되다보니 아직은 걸음마 단계입니다. [한영현/'마을과집' 이사장 : "(주거문제를) 공공이 다 해결해 줄 수는 없습니다. 민관이 협력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되는 것이고… (사회주택) 법안이 법사위에서 계류 중입니다."] 예산 부족 등으로 서울시의 경우 연간 2천 호 조성 목표치에는 크게 못 미치고 있습니다. 사회주택이 청년층의 주거 대안으로 자리를 잡으려면, 정부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