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아는 척 그만… 오해의 “성선설” (ft.사서삼경)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편집 : 장관 (김엽) 디자인 : 차관 (박혜진) [참고 문헌] 인용은 따로 본문에 각주로 표기합니다 꺽쇠 괄호 표기X 백영선, 고승환. (2023).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재고찰 -생물학적 욕구와 도덕적 경향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철학, 157, 1-40, 10.18694/KJP.2023.11.157.1 Herrlee G. Crreel, Chinese Thought from confucius to Mao Tse-Tu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5 이은선. (2015). 다른 유교, 다른 기독교. 양명학,(42), 235-276. 임헌규. (2023). 동서철학의 지평에서 본 유교 인성론. 태동고전연구, 50, 287-312. 이상호. (2020). 유교 평화론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58), 325-354. 정미량. (2018). 한국 다문화 교육과 전통 유교 교육 문화의 접맥(接脈). 퇴계학논집, 23, 427-458. 김백희. (2018). 신과학기술혁명시대의 유교윤리주체. 동서철학연구, 89, 391-411. 권영화. (2021). 진화심리학의 도덕 개념과 유가의 도덕 개념의 비교 연구. 동서철학연구,(99), 599-624. 임헌규. (2016). 유교에서 죽음의 의미 : 논어와 그와 연관된 栗谷의 해석을 중심으로. 온지논총,(47), 161-187. 신창호. (2002). '중용'의 교육사상 고찰. 교육철학연구,(28), 127-146. 배요한. (2010). 유교적 인간 이해에 대한 신학적 고찰. 선교와 신학, 25, 199-233. 양명수. (2023). 유교와 기독교 02 유교의 성선설과 기독교의 원죄론. 기독교사상, 778, 108-125. 장종원. (2015). 중국 고대인성론 발생의 역사적 배경과 고대인성론 비교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7(3), 735-746. 황진수. (2019). 동서양 심성론의 측면에서 본 왕양명의 양지(良知)의 자족성(自足性)에 대한 고찰. 유학연구, 47, 233-260. 황필호. (1997). 맹자의 성선설과 서양철학. 철학, 52, 39-73. 이일래. (2020). 의례문화의 변화와 공동체성: 유교적 관점에서. 한국학논집, 81, 29-60. 이충한. (2020). 유교의 인간관과 사회정의 - 롤스의 정의의 원칙의 정당화 문제를 중심으로 -. 철학논총, 100, 163-184, 10.20433/jnkpa.2020.04.100.163 채석용. (2020). 혈연중심의 유교 윤리와 진화심리학적 이타성. 초등도덕교육,(67), 347-387. 안점식. (2023). 세계종교들의 인간관과 대리적 속죄의 의의. ACTS 신학저널, 56, 85-121. 정세근, 신동열. (2020). 인성론에서 성선의 의미. 동서철학연구,(98), 51-74. 권영화. (2021). 진화심리학의 도덕 개념과 유가의 도덕 개념의 비교 연구. 동서철학연구,(99), 599-624. 임대희. (2019). 동서양 오컬트 영화 속 악(惡)의 이미지 스토리텔링 복합 연구 - 〈월하의 공동묘지〉(1967), 〈엑소시스트〉(1973), 〈링〉(1998)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7(4), 331-345, 10.17548/ksaf.2019.09.30.331 설충수. (2016). 기독교윤리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교 인성론(人性論) 연구: 에른스트 파베르(Ernst Faber)를 중심으로. 기독교사회윤리,(36), 113-142, http://dx.doi.org/10.21050/CSE.2016.3... 강지연. (2010). 순자의 인간본성론에 관한 소고. 철학연구, 115, 1-21. 이경무. (2017). 맹자 성선설의 논리적 정당화 가능성. 철학논총, 87, 381-402, 10.20433/jnkpa.2017.01.87.381 진예숙. (2018). 『맹자』 인용시 연구- 성선설(性善說)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43, 113-139. 정용환. (2007). 고자의 성무선악설과 맹자의 성선설. 동양철학연구,(51), 125-156. 이철승. (2004).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의미 - 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36), 389-414. 박제균. (2023). 맹자(孟子)에 나타난 ‘인(人)’ 개념의 이해. 유학연구, 63, 141-169. 정영수. (2023). 재난 극복을 위한 맹자의 타자 윤리. 범한철학, 108(1), 43-70, 10.22932/pkps.2023.108.1.43 고재석. (2017). 맹자 성선의 의미에 대한 연구 — 본성현현과 본성실현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90), 37-70. 김경호. (2014). 무엇을 ‘사랑’이라 할 것인가? : 유학에서 사랑의 기획. 인간·환경·미래,(12), 33-61. 성해준. (2021). 동양고전의 관점에서 본 인문학과 평안. 퇴계학논총,(38), 61-89. 정상봉. (2015). 공존(共存)과 공감(共感)의 근거: 인(仁). 한국철학논집,(46), 93-115. 장승희. (2019). 유교 행복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윤리연구, 1(127), 1-28. 홍승표. (2008). 유교사상을 통해 본 다문화사회. 철학연구, 107, 69-89. 문빛, 이유나. (2011). Public Relations 윤리에 대한 소고. 영상문화콘텐츠연구, 4, 5-25. 황진수. (2019). 동서양 심성론의 측면에서 본 왕양명의 양지(良知)의 자족성(自足性)에 대한 고찰. 유학연구, 47, 233-260. 이영경. (2014). 한국의 자살 문제와 유교사상. 한국민족문화,(52), 163-200, 10.15299/jk.2014.08.52.163 김백녕, 이경무. (2022). 맹자의 성선(性善)과 순자의 위선(僞善)에 대한 다윈주의적 통합. 동서철학연구,(106), 5-30. 이경무. (2014). 맹자의 성선과 감성 지능. 철학연구, 129, 141-166. 송윤우. (2022). 맹자 본성론에서 도덕적 동기와 책임의 문제. 철학사상,(84), 3-35, 10.15750/chss.84.202205.001 안유경. (2021). 유학의 평화사상 : 공자, 맹자, 주자의 인(仁)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과 평화, 2(1), 175-203. 이치억. (2020). 자본주의 사회에서 다시 보는 맹자의 성선론. 국학연구, 42, 137-162. 최용성, 성지은. (2022). 긍정심리학과 유교적 행복·덕윤리와의 통섭. 퇴계학논총,(39), 159-186. 이봉규. (2013). 인륜 : 쟁탈성 해소를 위한 유교적 구성. 태동고전연구, 31, 109-153.\ 이종우. (2015). 맹자의 시비지심‧지(智)=선의 의미: 주희와 왕수인의 해석을 중심으로. 孔子學,(29), 205-231. 안외순. (2010). 공자의 행복관 : 『 論語』를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41), 303-331. 정재현. (2022). 유교 윤리학과 칸트 윤리학의 비교- 덕과 목적 개념을 중심으로 -. 철학논집, 71, 73-93. 임헌규. (2018). 인공지능시대 유교 심성론의 의미- 공맹과 퇴계를 중심으로-. 대동철학, 84, 123-143, http://dx.doi.org/10.20539/deadong.20.... 권상우. (2008). 유가 ‘관계 맺음’에서 바라본 잘 삶-‘禮樂’문화적 토대에서의 孟子와 荀子思想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53), 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