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별별이야기] 외계 소천체 오우무아무아·보리소프의 발견 / YTN 사이언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 문홍규 / 한국천문연구원 박사 [앵커] 인류는 오랜 시간 천문을 연구한 끝에 20세기 말에 겨우 외계행성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이에 그치지 않고 외계 소행성과 혜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오늘 '별별 이야기'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 문홍규 박사와 이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태양계 밖에 외계 행성을 발견 했다는 게 생각보다 너무 최근의 일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조금 의외라는 느낌인데요. 이 발견을 이룬 천문학자들이 지난해에 노벨상을 받았다고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외계행성이 얼마나 발견이 되었고 또 어떤 특성이 있는지 알려주시죠. [인터뷰] 네. 태양계 밖에, 다른 별을 주변에도 행성이 있을 거라는 얘기는 천문학 교과서에도 나왔었어요. 하지만 어디까지나 추측해 불과했었는데요. 그러다가 1995년, 미셸 마요르와 디디에 켈로, 두 분의 천문학자가 페가수스자리 51번 별, 주변을 공전하는 행성을 하나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 발견으로 두 분은 노벨물리학상을 받았죠. 이후 외계행성을 찾아서 그곳은 어떤 환경을 갖췄고, 또 생명체가 살만한 곳인가를 밝히는 연구가 인기 있는 분야로 급부상했는데요. 지금까지 1,140여 개 외계 행성계에서 4,240개가 넘는 행성들이 발견되었습니다. 게다가 굉장히 뜨거운 별이나 중성자별처럼 행성들을 거느리기 어려울 것이라고 믿었던 곳에서도 행성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서 많은 천문학자가 깜짝 놀랐었습니다. 특히 그중 17개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생존 가능지역에 있고요. 저희 천문연구원에서도 KMTNet 자료로 30개의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앵커] 이제는 외계행성뿐만이 아니라 소행성, 혜성까지도 태양계 밖에서 날아오고 있는 것으로 추정이 되는데, 몇 년 전에 태양계 밖에서 날아온 것으로 보이는 소행성이죠. 오우무아무아라는 것이 처음으로 관측됐다고 들었습니다. 자세히 소개해 주시죠. [인터뷰] 네. 외계에서 방문했다고 확인된 첫 번째 천체에요. 2017년 10월에 발견되었고요. 하와이 원주민 언어로 ‘먼 곳에서 온 정찰병’ 이런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같은 해 9월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인 근일점을 지났고요. 그 뒤로부터 40일이 지난 후에 발견됐습니다. 처음에는 혜성으로 오인했다 외계에서 왔다는 사실을 알고 '1I/Oumuamua'로 이름을 바꿨는데요. 여기서 I는 interstellar, one, 1은 처음 발견된 천체, 그러니까 태양계 밖에서 방문한 거로 확인된 첫 번째 천체를 뜻합니다. 작은 데다가 한참 멀어진 이후 검출돼 어두웠고요. 무엇으로 이뤄졌는지, 얼마나 큰지 알아내기가 그래서 어려웠습니다. 반사율을 0.1로 가정할 때 길이 230m, 폭과 높이는 35m로 추정하고 있지만, 아직 논란이 많습니다. [앵커] 아직 추정일뿐이군요. 그러면 자세한 궤적은 어떻게 되나요? [인터뷰] 네, 동영상처럼 태양 북극 방향에서 왔다가 방향을 틀어서 지구하고 화성, 목성, 해왕성 궤도를 통과해 멀어집니다. 보통 태양계 소행성은 타원궤도를, 혜성은 타원이나 쌍곡선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데요. 혜성이 쌍곡선 궤도를 그린다 해도 원에서 벗어난 정도를 뜻하는 궤도이심률은 1.05를 넘지 않습니다. 그런데 오우무아무아는 거의 1.2에 가까웠죠. 그래서 이것은 명백한 외계 천체라고 말씀드릴 수가 있는데요. 오우무아무아의 태양계 진입속도는 초속 26.3km, 또 근일점에서는 초속 87.7km라는 무서운 속도로 질주했습니다. 2017년 11월엔 화성 궤도를, 2018년 5월엔 목성 궤도, 2019년 1월...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