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뇌졸중 후유증 유발하는 '기능해리' 발생 메커니즘 규명_지스트 의생명공학과 김형일 교수 연구팀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뇌졸중 후유증을 유발하는 '기능해리'의 발생 메커니즘이 밝혀졌습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김기선) 의생명공학과 김형일 교수 연구팀은 기초과학연구원(IBS) 이창준 단장 연구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연구로 '별세포'의 이상변화가 뇌졸중 후 발생하는 기능해리의 핵심 요소임을 규명했습니다. 이로써 뇌졸중 연구의 오랜 숙원을 해결함은 물론, 뇌졸중 후유증 치료에 근본적인 해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진은 지난 연구에서 뇌 백질부에 뇌졸중이 발생하면 그로부터 멀리 떨어진 운동피질 부위에 초미세 신경 변성이 일어남을 밝힌 바 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신경 변성 부위에서 뇌 신경세포의 한 종류인 별세포가 다른 신경세포의 활성과 대사를 억제하여 기능해리를 일으키는 원리를 규명했습니다. 신경외과 전문의인 지스트 김형일 교수는 “기능해리의 신비를 풀고 뇌졸중을 비롯한 신경학적 질환 치료법 중 하나를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며 “기능해리를 동반한 다양한 신경학적 뇌질환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지표가 될 것이다”고 전했습니다. ▼ 2020. 7. 8. 지스트 보도자료 바로가기 ▼ https://www.gist.ac.kr/kr/html/sub07/... ▼지스트 유튜브▼ / gist_youtube ▼지스트 Facebook▼ / gist.sns (국문) / gist.sns.en (영문) ▼지스트 Instargram▼ / gist.sns ▼지스트 카카오톡채널▼ http://pf.kakao.com/_xmNxmkT ▼지스트 대표 홈페이지▼ https://www.g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