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컴퓨터 포맷하는 법 #2 (빠른 포맷, 일반 포맷, 로우 레벨 포맷의 차이점)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제가 DOS 시절부터 사용하던 용어가 습관이 들은 바람에, 영상에서 빠른 포맷 대신 퀵포맷, 일반 포맷 대신 하이 레벨 포맷이란 단어를 많이 사용했는데 퀵 포맷이 빠른 포맷이고요, 하이 레벨 포맷이 일반 포맷입니다. 포맷은 빠른 포맷, 일반 포맷, 로우 레벨 포맷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빠른 포맷의 장점은 포맷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고요, 일반 포맷의 장점은 배드 섹터를 체크해 준다는 점 로우 레벨 포맷의 장점은 배드 섹터 체크 + 공장 초기화를 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참고로 빠른 포맷은 퀵 포맷이라고도 부르고요, 일반 포맷의 정확한 명칭은 하이 레벨 포맷입니다.) 빠른 포맷의 단점은 배드 섹터 체크가 안 된다는 점이고요, 일반 포맷의 단점은 포맷 속도가 엄청 느리다는 거, 로우 레벨 포맷의 단점은 무지막지하게 느린 포맷 속도 + 디스크 수명이 짧아진다는 점입니다. 그럼 여러분이 사용하는 포맷 방식은 뭘까요? 여러분께서, 아니 우리 모두가 주로 사용하는 포맷 방식은 바로 빠른 포맷입니다. 빠른 포맷은 속도는 빠르지만, 배드 섹터 체크나 디스크 검사를 하지 않는 방식이에요. 우리가 PC를 사용하다 문제가 생기면 “포맷해!” 라고 하는데... 디스크에 문제가 있을 때 빠른 포맷을 하는 건 소용이 없어요. (윈도 다시 까느라 괜히 고생만 하는 거죠!) 포맷은 1개의 공간을 무수히 많은 조각으로 쪼개는 겁니다. 그걸 HDD에서는 섹터라고 부르고, SSD에서는 셀이라고 부르는데, 오피스텔이나 원룸 건물 생각하시면 돼요. 빠른 포맷, 하이 레벨 포맷(일반 포맷), 로우 레벨 포맷은 공통점이 있는데… 셋 다 모두 디스크의 내용이 삭제된다는 거죠! 그런데 빠른 포맷은 사라진 시늉만 하는 거고, 하이 레벨 포맷은 살짝만 지우는 거고, 로우 레벨 포맷은 진짜로 지우는 거예요. 빠른 포맷을 건물에 비유하면, 페인트 칠만 해놓고 다른 건물이라고 우기는 격이랄까요? 가구, 시설, 관리인까지 다 남아 있다는… ^^ (데이터 복구가 가능한 이유죠.) 정리를 해드리면, 디스크 검사가 필요없는 분은 빠른 포맷, 혹시 있을 수도 있는 디스크 문제를 해결하거나 배드 섹터를 검사하고 싶은 분은 하이 레벨 포맷, 배드 섹터가 발견되었거나 데이터 복구를 방해하실 분은 로우 레벨 포맷을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로우 레벨 포맷은 디스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물리적인 고장에는 효과가 없고, 최악의 경우 멀쩡하던 디스크가 고장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제조사에서 로우 포맷을 못하게 대부분 막아놨어요.) ‘어차피 고장나서 버려야 되는데 한 번 해보지 뭐!’ 이런 상황이거나, 데이터 복구를 어렵게 할 목적으로만 사용하세요. (이 경우에도 복구 업체에 맡기면 일부라도 복구됩니다.) 로우 레벨 포맷은 아주 예전에 맥스터 하드용이 유명했었는데 요즘 하드나 SSD에는 소용이 없고요, 인터넷 검색하면 몇 개 나오니까 필요하신 분은 검색해 보세요. 윈도우에서 빠른 포맷하는 방법과 하이 레벨 포맷(일반 포맷)하는 방법에 대해 보여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