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서울 한복판에 지름 1km 소행성이 충돌하면 어떻게 될까?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우럽우주국(ESA)에 따르면 현재까지 알려진 소행성은 약 118만개나 되며, 이중 97.4%가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에 있는 거대한 소행성대에 존재합니다. 반면 아텐 소행성군, 아폴로 소행성군, 아모르 소행성군과 같이 지구 궤도와 근접한 근지구 소행성대도 있는데, 이들을 포함해 지금까지 지구와의 근거리 궤도가 740만km 이내인 근지구 소행성은 약 3만 2천개 가량 발견됐죠. 그중에서도 전지구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크기인 지름 1km 이상의 소행성은 851개, 도시 하나를 날려버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지름 140m 이상의 소행성은 10,412개가 발견됐습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밝혀진 위협보다 밝혀지지 않은 위협이 더 많습니다. 지름 1km 이상의 거대한 소행성은 95% 가량 찾아내 궤도를 추적하고 있지만 140m 이상의 소행성은 전체의 40% 정도밖에 발견하지 못했죠. 우주의 어떤 곳이든 100% 안전한 곳은 없습니다. 미처 발견하지 못한 우주의 천체가 갑자기 등장해 내 머리 위로 떨어질 확률도 희박하지만 절대로 0%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