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특강09 - 1] 낙관서 쓰기와 낙관인 찍기(1) - 서예, 이것을 알아야 좋은 글씨 쓴다. 국당 조성주의 핵심정리 서법영상강좌 100,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특강 9-1 낙관서(落款書) 쓰기, 낙관인(落款印) 찍기 낙관서쓰는 요령 낙관은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줄임말로 이는 서화 작품을 마무리 짓고 자신의 아호나 이름, 장소, 날짜 등을 쓰고 낙관인을 찍는 일로 그 작품이 완전히 마무리 했음을 뜻한다. 落成款識에서 관지는 고대 동기 류의 刻銘에 음각한 글자를 ,관“이라 하였고 양각한 글자를 ,지”라 하였는데 여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낙관은 사실 고대 중국에는 없었고 후대에 이르러 작가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어 독립적으로 변하면서 발전하여 생기게 된 것이다. 따라서 화론이나 화사 등 唐宋 중국의 어느 서적에서도 낙관법에 대한 논함은 거의 없고 물론 우리나라에도 이에 대한 전문 지침서는 아직 안 보인다. 다만 청대의 小山畫譜에서 다소 다루고 있는 정도이다. 소산화보의 기록을 일부 살펴보면, “화면에는 일정한 낙관의 공간이 있으나 그 장소를 잘못잡으면 화면의 균형이 손상된다” “낙관은 행서나 해서가 좋으며 .......” “대체로 화면에는 단관이 좋다” 등이 적혀 있다. 낙관은 인장이 함께 찍혀 있는 것이 원칙이므로 낙관 인장 또는 줄여서 款印 이라 하며 요즈음은 그냥 전각이라 말하기도 한다. 다만 이 전각 즉 낙관인을 그냥 “낙관”이라 호칭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 작가가 서화 창작 작품을 해놓고 낙관서 쓰는 요령이 부족하게 되면 사실 좀 난감할 수 있다. 요령을 모르면 자칫 잘못 쓰는 경우가 있고 또 어떻게 표현 해야 할지 모를 수도 있으므로 이 또한 익혀둘 필요가 있다. 이때 어느 정도의 한문 작문 실력이 요구되는 것도 사실이다.따라서 다음의 기본요령을 기억하여 거기에 대입하면 어느 정도의 낙관서는 쓸 수 있게 된다. 낙관은 서예 작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본문과 유기적인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낙관법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와 공부가 필요하다. 낙관을 하는 방법으로는 위에하는 상관과 아래에 하는 하관으로 구분하며 길게 하면 長款, 짧게하면 短款이라 한다. 상관은 보통 詩, 詞의 제목 혹은 증여받을 사람의 성명이나 연 월 일 ,장소 등을 적는다. 이때 상관이 없고 하관만 있으면 이를 단관이라 하며 상 하관이 함께 있으면 쌍관이라 한다. 낙관을 할 때는 지나치게 요란하여 본문과 주객이 전도 되지 않도록 하며 낙관서의 서체는 원칙적으로 본문과 일치하거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본문이 전서나 예서 時 낙관서는 해서나 행서로 쓰고 해서가 본문일 때는 해서로 쓰며 행서 본문일 경우에는 행서나 행초서가 합당하고 초서일 경우 낙관서는 초서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특별한 경우는 이와 달리 할 수도 있다. 낙관은 단관(單款)과 쌍관(雙款) 두 가지로 구분한다. 단관은 작자의 서명만 들어가는 것이고 쌍관은 부탁받거나 작품을 증정할 상대방의 이름 등을 넣는 경우이다. 다음에 일반적인 기본 例文 몇 가지를 적으니 참고하여 가감 하면된다. 단관(單款)의 例 (작가 본인의 아호나 이름만 기록) 1.甲辰 立春 菊堂 趙盛周 갑진년 입춘 국당 조성주 2.甲辰 新春 菊堂 趙盛周 書(또는 書之) 갑진년 봄 국당 조성주 쓰다 3.甲辰 孟夏 錄菜根譚句 菊堂 趙盛周 갑진년 초여름 국당 조성주 채근담 구를 씀 이때 앞에 錄이 이미 들어가 있으므로 말미에 또 書를 넣으면 안 되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4.甲辰 秋日 書於文香齋 秋史先生詩 菊堂 散人 갑진년 가을 추사 선생시를 문향재에서 국당 산인 씀 *산인은 벼슬 없이 한가히 지내는 사람으로 자신을 낮추는 말로 상황에 따라 學人, 초부(樵夫),등을 붙여쓰기도 함 5.甲辰 冬 文香齋 主人 書 갑진년 겨울 문향재 주인 씀 6.甲辰 冬 文香齋 主人 菊堂 書(또는 錄之) 갑진년 겨울 문향재 주인 국당 쓰다 7.登州對菊 有感之一 甲辰秋日 書於文香齋 菊堂 등주 대국 유감중 한수를 갑진년 가을 문향재에서 국당 쓰다 8.佛紀 二千五百六十八年 甲辰四月 菊堂 趙盛周 謹書 (謹錄) 불기 이천오백육십팔년 갑진 사월 국당 조성주 삼가 씀(삼가 기록함) 불경 사경이나 불교 작품 등을 한 뒤 하는 낙관형식 9.甲辰 歲暮 於文香齋 南窓下 菊堂 七十 有三 作 갑진년 세모 문향재 남쪽 창 아래에서 국당73세 作 위에서 於는 장소를 가리키는 어조사임 **이런 형식은 나이가 많은 노작가들이 쓰는 것으로 젊은 작가는 쓰지 아니함 10.歲在 甲辰夏 錄 菜根譚句 菊堂 갑진년 여름 채근담 구를 국당 쓰다 11.錄 秋史先生詩 甲辰夏至節 菊堂 趙盛周 추사 선생 시를 갑진년 하지절에 국당 조성주 쓰다 12.甲辰 夏至 三日前 秋史 先生 詩 菊堂 書 갑진년 하지 삼일 전에 추사 선생 시를 국당 쓰다 13.甲辰 元旦 菊堂 趙盛周 鞠躬 갑진년 새해 아침 국당 조성주 국궁 연하장 등을 쓸 경우-이때 특히 손 윗 상대에게 자기의 아호만 넣으면 결례가 될 수 있음에 주의, 가급적 성명을 넣는 것이 좋다 (국궁:몸을 굽혀 절하다) 14.甲辰秋日 余在文香齋 讀高麗 李文順 白雲小說 其中 此文 即晉陶淵 明五柳先生傳之類也 乃偶然欲書 菊堂 갑진년 가을날 내가 문향재에서 고려 이문순의 백운소설을 읽었는데 그 중에 이 문장이 곧 진나라 도연명의 오류선생전 종류로 이에 우연히 글씨를 쓰고 싶어졌다. 국당 15.風玉軒先生詩一首 甲辰榴夏 十五世孫 盛周 書於 文香齋 풍옥헌 선생 시 한 수를 갑진년 여름 십오 세 손 성주 문향재에서 쓰다 **조상의 시나 문구를 쓸 경우는 姓을 붙이지 않는다. 16.錄 中庸 第 三十章 甲辰 晩秋 菊堂 중용 제30장 갑진년 늦가을 국당 쓰다 #서예 #서법 #국당 #조성주 #전각 #書藝 #書法 #篆刻 영상 관련 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