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테이퍼링'이 도대체 뭐길래 이렇게 난리일까?? 외국인들이 계속 주가를 깎아내리는 이유ㅣ3분 정리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테이퍼링 #연준 #외국인 지난 8월 18일, 바로 엊그제였죠? 미국 연준에서 지난 7월 27일, 28일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을 공개했습니다. 회의에 참석한 대다수가 “경제가 예상대로 괜찮아지면 올해 자산매입 속도를 줄이자”는 이야기를 했다는 내용이 담겨있었습니다. 그러면서 세계 금융시장은 연준의 ‘테이퍼링’이 시작되었다며 긴장하고 있는 상황이고, 덩달아 한국의 코스피지수는 3100 선 아래로 떨어지면서 충격을 받고 있습니다. 외국인들과 기관이 테이퍼링 소식에 따라 가진 주식을 급격하게 매도하고 있는 것입니다. 테이퍼링이란 게 뭐길래 주가가 이렇게까지 떨어지는 걸까요? ‘테이퍼링’이란, ‘가늘어지다’라는 뜻의 영어 단어인 ‘Taper’에서 유래한 말로, 원래는 주로 스포츠 선수들이 경기 일정에 맞춰 훈련강도와 양을 점점 줄여나가는 것을 지칭하는 용어였습니다. 이게 금융시장에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시중에 풀린 자금을 조금씩 줄여나가는 것을 뜻하게 되었죠. 즉 경제 위기로 인해 시중에 풀었던 유동성을 점차 축소해나간다는 의미입니다. 연준이 시중에 돈을 푸는, 이른바 ‘양적완화’는 채권을 사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연준이 달러를 찍어내고 그 돈으로 시중은행과 정부로부터 채권을 사들입니다. 그러면 당장 현금을 확보한 정부와 은행이 시중에 돈을 풀게 됩니다. 테이퍼링은 이와 반대로 연준이 사들이던 채권의 규모를 조금씩 줄여나가는 겁니다. 앞서 연준 의사록에 담긴 ‘자산매입’은 바로 채권을 사들이는 일을 의미합니다. 작년에 코로나로 인해 위축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서, 연준은 사상 최대 수준의 양적완화를 기록하면서 전례없는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꺼내들었습니다. 하지만 시중에 돈이 많아진 만큼 그만큼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이는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몇달 전에 대파가 너무 비싸져서 집에서 대파를 키우는 게 유행이었던 거 기억나시죠? 이런 현상 때문에 돈을 무한정 찍어내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백신도 맞고 경기가 점차 회복되기 시작하니까 ‘테이퍼링’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겁니다. 연준의 테이퍼링은 이머징 국가들, 즉 중국, 브라질, 터키, 러시아 같은 ‘신흥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신흥국 통화는 기축통화국인 미국 달러 비해 안정적이지 못하고, 경기 회복 속도도 느릴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의 경기에 초점을 맞춘 연준의 테이퍼링이 신흥국에게 불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테이퍼링과 함께 신흥국에 투자했던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환율이 올라가며 경제 전반적으로 타격을 받는 것이죠. 실제로 지난 2013년도에 갑작스럽게 발표된 테이퍼링으로 인해서, 신흥국 통화가치가 평균 13.5% 하락하고 주가도 급락하면서, 이른바 ‘긴축 발작’이 일어난 적이 있습니다. 다행히도 많은 전문가들이 한국이 테이퍼링에 당장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거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한국은 터키나 러시아 같은 신흥국에 비해 안정적인 경제구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규모가 작든 크든 간에,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일정 부분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경제 전반은 물론 주가에도 영향이 어느정도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현재 선진국들이 조금씩 금리를 인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아직 한국이 코로나로부터 선진국만큼 회복되지 못했다는 점도 걱정되는 부분입니다. 유동성 주체인 선진국으로 자본이 쏠리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죠. 테이퍼링 이슈와 함께 외국인들이 더욱 빠르게 발을 빼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연준의 테이퍼링 이슈가 뜨거운 지금, 이번 영상에서는 테이퍼링의 의미와 전 세계와 한국 증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정리해봤는데요. 다음 번에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그럼 안녕!! ㅡㅡㅡㅡㅡㅡ ✔ 즉흥필굳 by SellBuyMusic 🎧 Download / Stream https://www.sellbuymusic.com/musicD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