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Q&A 024] 웨슬리의 성화론과 미국 칼빈주의 [2] 미국 신학자 벤자민 워필드는 왜 독일 신학자 리츨을 분석했는가?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후원계좌] 우체국 100057-02-097533 (예금주 임원주) 국민은행 232-21-0316-501 (예금주 임원주) [이메일 및 Papal ID] [email protected] #알브레히트_리츨 #프러시아 #존_웨슬독일 #벤자민_워필드 #웨슬리의_성화론 #완전성화론 #찰스_핫지 #슐라이엘마허_자유주의 #칸트철학 #독일철학 #독일신학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활동한 미국 북장로교단의 프린스턴 신학교 교수 벤자민 워필드는 사후에 "Studies in Perfectionism"이란 단행본으로 출간될 일련의 논고를 발표했다. 이 논고들은 단행본으로 출간되었을 때 거의 1천 페이지에 달하는 분량이다. 벤자민 워필드는 당시 미국에 퍼진 완전주의 성화론을 공박하기 위해, 먼저 알브레히트 리츨을 분석했다. 왜 그랬을까? 리츨은 독일신학 즉, 고전적 자유주의 신학의 완성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리츨의 제자이거나 리츨로부터 큰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다. 당시, 하이델베르그 대학을 제외한 독일의 모든 대학에 리츨의 제자들이 교수로 활동했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그런데 리츨은 슐라이엘마허를 계승하여 자유주의 신학을 완성했다고 하지만 슐라이엘마허보다 더 칸트철학에 의존한다고 평가된다. 따라서 칸트 철학을 알아야 슐라이엘마허를 알고, 리츨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칸트철학에서 리츨에 이르기까지, 독일철학의 발전과 그 특성에 대해 맥락을 짚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