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경계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56개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경계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경계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56개] 1) 人鬼相半(인귀상반):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2) 梟首警衆(효수경중):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아 뭇사람을 경계하던 일. 3) 禍生于懈惰(화생우해타): 화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화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4) 圓木警枕(원목경침):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5) 變易生死(변역생사): 보살이 삼계(三界)의 윤회를 떠난 뒤 성불하기까지 그 원력(願力)에 의하여 현세에 나타나서 일부러 받는 생사. 미계(迷界)와 오계(悟界)의 경계를 지나가는 상태를 이른다. 6) 斷機之戒(단기지계):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7) 驚弓之鳥(경궁지조):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8) 安不忘危(안불망위): 편안한 가운데서도 위태로움을 잊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항상 마음을 놓지 않고 스스로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9) 探湯(탐탕): 끓는 물에 손을 넣어 본다는 뜻으로, 더위에 괴로워하는 모양이나, 고생하거나 두려워하여 경계하는 모양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0) 止足之戒(지족지계): 그치고 만족하는 경계라는 뜻으로, 자신의 분수를 알아 만족할 때 만족하여 더 이상 욕심을 부리지 않는 일의 의미. 11) 傷弓之鳥(상궁지조):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12) 枕戈待旦(침과대단): 전투태세를 철저히 갖춘 군인의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장수 유곤이 매일 창을 베개 삼아 잠을 자고 아침을 기다리면서 적을 물리칠 태세를 준비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13) 無緣法界(무연법계): (1)차별이 없는 평등한 일체. 무연이란 피차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것이고, 법계는 법의 한계를 이른다. (2)인연도 연고도 없음. 또는 그런 사람. 14) 單刀直入(단도직입): (1)혼자서 칼 한 자루를 들고 적진으로 곧장 쳐들어간다는 뜻으로, 여러 말을 늘어놓지 아니하고 바로 요점이나 본문제를 중심적으로 말함을 이르는 말. (2)생각과 분별과 말에 거리끼지 아니하고 진실의 경계로 바로 들어감. 15) 三戒(삼계): (1)사람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세 가지 계. 청년 시절에는 여색을, 장년 시절에는 투쟁을, 노년 시절에는 이욕(利慾)을 경계하여야 한다는 공자의 교훈이다. (2)부처의 세 가지 계율. 재가계, 출가계, 도속 공수계를 이른다. 16) 打草驚蛇(타초경사): 수풀을 휘저어 뱀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의도하지 않은 행동이 뜻밖의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17) 以一警百(이일경백): 한 사람을 벌하여 뭇사람의 경계가 되게 함. 18) 無心(무심): (1)다른 종류의 털로 속을 박지 않은 붓. (2)감정이나 생각하는 마음이 없음. (3)속세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경지. 19) 天傾西北邊地卑東南界(천경서북변지비동남계): 하늘은 서북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땅은 동남쪽(東南-) 경계(境界)로 낮음. 20) 前車可鑑(전거가감): 앞수레가 엎어진 것을 보고 뒷수레가 경계(警戒)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말로, 전인(前人)의 실패(失敗)를 보고 후인(後人)은 이를 경계(警戒)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 21) 壁有耳(벽유이): 벽에 귀가 있다는 뜻으로, 비밀은 새기 쉽다는 것을 경계하는 의미의 속담. 22) 助長(조장):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더 심해지도록 부추김. 23) 狼顧(낭고): 이리는 뒤를 잘 돌아본다는 뜻으로, 경계하거나 무서워하여 뒤를 돌아봄을 이르는 말. 24) 守口如甁(수구여병) 25) 窮寇勿追(궁구물추) 26) 前覆後戒(전복후계) 27) 尤而效之(우이효지) 28) 孟母斷機(맹모단기) 29) 沐浴齋戒(목욕재계) 30) 自肅自戒(자숙자계) 31) 撻楚(달초) 32) 懲忿窒慾(징분질욕) 33) 快犢破車(쾌독파거) 34) 不愧屋漏(불괴옥루) 35) 殷鑑不遠(은감불원) 36) 知音(지음) 37) 君子三樂(군자삼락) 38) 寂光淨土(적광정토) 39) 輕敵必敗(경적필패) 40) 藥石之言(약석지언) 41) 望文生義(망문생의) 42) 佩鈴自戒(패령자계) 43) 堯鼓舜木(요고순목) 44) 禍生於忽(화생어홀) 45) 天羅地網(천라지망) 46) 楊布之狗(양포지구) 47) 陽動作戰(양동작전) 48) 一罰百戒(일벌백계) 49) 三人行必有我師(삼인행필유아사) 50) 斷機之敎(단기지교) 51) 犬牙相制(견아상제) 52) 犬牙相錯(견아상착) 53) 亢龍有悔(항룡유회) 54) 緣高木望四方(연고목망사방) 55) 覆車之戒(복거지계): 앞의 수레가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하여 엎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뜻으로,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기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56) 天高馬肥(천고마비):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경계에-관한-한자-한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