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식물도 ‘뇌’가 있다고?|지식채널e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내가 모를 거라 생각했어? 연구 결과, 식물도 '의식'이 있다 식물에도 생각할 수 있는 ‘뇌’가 있다면 어떨까? 1973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식물학자 라이얼 왓슨은 “식물이 감정을 갖고 있으며 거짓말 탐지기로 기록도 가능하다”고 했다. 과학계는 그를 미친 사람으로 여겼다. 우리는 흔히 식물이 땅속에 뿌리박혀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못하며 의식 또한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한 가지 의문점이 있다. 식물은 하늘과 땅을 어떻게 구분하고 알맞은 방향으로 뿌리를 내리는 것일까? 겉보기에 생각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식물에도 ‘의식’이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식물은 동물처럼 소리를 내거나 몸을 재빨리 움직일 수는 없지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생존 방법이 있다. 일본의 한 연구팀은 동물의 신경계와 식물의 방어 기제의 신호 전달 체계가 닮아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식물 애기장대의 잎을 벌레가 갉아 먹자, 몇 초 지나지 않아 해당 위치에 녹색 빛이 들어오고, 다른 잎들로 퍼져나가는 것을 관찰했다. 특정 부분의 칼슘 신호가 단기간에 잎 전체로 퍼져나간 것이다. 칼슘 이온은 동물의 체내에서 전기적 및 화학적 신호를 운반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칼슘 이온이 지나간 곳에는 세포벽을 단단하게 만들어서 벌레가 잎을 먹기 어렵게 만드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만들어졌다. 공기 중으로는 곤충의 소화를 방해하는 물질이 분사되었다. 이처럼 식물은 잎과 줄기를 갉아 먹고 병들게 하는 곤충 또는 동물의 공격에 맞서기 위해 화학물질을 만들어 방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억만년 전부터 치열한 경쟁을 거쳐 살아남은 생명체이다. 고작 20만 년을 살아온 현 인류가 식물을 과소평가하는 것은 아닐까? 식물의 지능에 대해 새로운 시각이 필요한 때다. 우리 삶 속에서 잠깐, 5분 의미있는 순간으로 만드는 채널 공유하고 쌓여가는 지식 🧠👀 더 많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5월 29일. 네가 아는 한 가지 5월 30일. 어른도감 9부: 문제적 어른 5월 31일. 세 자매 소설가 6월 1일. 내가 모를 거라 생각했어? ▶홈페이지 : https://jisike.ebs.co.kr/jisike ▶페이스북 : / ebs.jisik ▶인스타그램 : / ebs_jis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