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학교에서도 안 알려주는 은는이가 사용법 (왜 알아야 할까?)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우리말에서 주어를 나타내는 격 조사는 ‘이/가’뿐이죠. 그런데 "너는 짬뽕, 철수는 짜장면이지?"라는 질문에 "제가 짜장면입니다."라고 대답할 때 '저'는 주어가 아니에요. 내가 짜장면인 건 아니잖아요. 주격 조사가 쓰였는데 주어가 아니다? 학교에서 ‘이/가’에 대해 가르치지 않는 뭔가가 있는 거예요. “안녕하세요, 저는 방구석인문학도입니다.”는 괜찮은데, “안녕하세요. 제가 방구석인문학도입니다.”는 묘하게 재수없는 이유. 국어학자들은 어떻게 설명할까요? 최대한 쉽게 요약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주어 같은데 주어가 아니다? 01:31 '주제'가 중요한 한국어 문법 02:19 정보 구조: 화제와 초점 04:34 왜 이런 걸 알아야 할까? * 참고문헌 목록 1. 전영철, 『한국어의 의미와 의미 이론』, 박이정, 2023. 2. 「주제중심언어」,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주제중심언어. (2023. 12. 26.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