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공정 양극재 활물질 니켈 코발트 망간으로 전구체에 리튬 도전재 가교제 더해 양극재 흑연 음극재 재활용 블랙매스 에코프로 포항 EV Trend Korea 2024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여정현의 미래전지 http://eleccarbat.com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공정 완전해부- 안녕하세요 미래를 읽어주는 여정현입니다. 저는 그동안 다양한 2차전지 원료물질과 생산설비를 공급하거나 수리하며 재활용설비도 공급해왔습니다 2차전지는 보통 광산개발, 원료개발. 소재생산과 배터리생산과정을 거쳐서 제조됩니다. 이 영상에서는 각 과정에서 사용되는 설비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차전지 제조의 시작은 리튬, 망간, 코발트, 니켈과 같은 광물들의 개발로 시작됩니다. 지금 보시는 광물은 니켈황화광과 니켈산화광입니다. 니켈황화광은 캐나다, 러시아, 호주, 남아공, 핀란드 등에서 주로 생산됩니다. 이미 채굴된 원광석의 분쇄에는 보시는 것과 같은 다양한 세라믹볼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원광석은 산이나 알카리, 유기용매에 침출된 후 다양한 금속이온으로 정제됩니다. 그리고, 금속이온이 녹아있는 용액은 침전하여 회수되며 건조 및 제련과정을 거치며 순도가 높아지기도 합니다. 2차전지는 양극재와 음극재, 분리막과 전해액으로 구분됩니다. 지금 보시는 니켈, 코발트, 망간은 양극재를 구성합니다. 그리고 이 MCN혼합물는 전구체를 이룹니다 활물질 중 니켈은 고온에서 용융되어 추출되기도 합니다. 2차 전지에 사용되는 활물질은 원광석에 추출되지만 재활용이나 재사용으로 확보되기도 합니다. 블랙매스는 재활용과정에서 생산되는데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들이 서로 섞여 있습니다. 분쇄된 블랙메스 중 니켈과 코발트는 보시는 것처럼 강한 자석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가 가능합니다. 블랙매스는 침출, 정제, 농축, 건조과정을 거치면 보시는 것과 같은 매우 값비싼 황산코발트로 추출됩니다 블랙매스 중 일부는 동일한 과정을 거쳐 매우 값비싼 탄산리튬으로 변모하기도 합니다. 보시는 모형은 에코프로 포항공장의 침출동 건물입니다. 왼쪽에 여러용액을 보관하는 탱크가 보입니다. 그리고,다음 모형은 같은 공장에서 추출공정을 진행하는 결정화동 건물입니다. 에코프로 등은 활물질들을 혼합하여 CDS전구체 등으로 가공하며 탄소나노튜브 등의 다양한 도전재와 시킵니다. 보시는 기계는 한국의 기업에서 활물질이나 도전재 등을 썩는데 사용하는 교반기입니다. 그리고,제조된 전구체에 도전재를 혼합한 후에는 3차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가교제가 코팅됩니다 PFCS에서 생산되는 PVDF는 가교제의 일종입니다. PVDF는 활물질 분해를 방지하고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킵니다. 그후 공정에 열처리가 진행되기도 합니다. 그리고,활물질,도전재,가교제가 모두 결합한 물질은 흔히 슬러리로 불리게 됩니다. 보시는 물품은 천연흑연인데요 흑연은 주로 2차전지의 음극재로 사용됩니다 2차전지의 음극재는 흑연에서 주로 추출되는데 이 물질도 고온에서 열처리과정을 거칩니다 설명한 슬러리는 집전체와 결합하여 전극을 구성합니다. 코팅된 전극은 건조와 압연을 통하여 밀도가 높아집니다 그후 양극과 음극, 분리막은 결합되고 전해질이 주입되어 캔형이나 파우치형태로 제조됩니다 영상에서 보시는 기계는 캔공정에서 전해액을 주입하거나 이송하는 것을 담당합니다. 피우치형 배터리는 보통 펀칭, Z스태킹, 탭웰딩 등의 과정을 거쳐서 가공됩니다 보시는 기계는 파우치형 배터리 제조에 사용되는 장비의 일종입니다. 보통의 전지들은 캔형이나 파우치형으로 제조되지만 보시는 것처럼 필름형태로 생산되기도 합니다. 생산된 배터리는 용도에 따라 셀이나 모듈, 그리고, 팩으로 결합됩니다. 보시는 제품들은 삼성SDI에서 제조된 모듈인데요 전기차나 ESS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배터리 모듈들은 충방전을 거쳐 안정화되고 검사를 거쳐 최종 소비자들에게 출하됩니다 보시는 장비는 18650 배터리를 검사하는 장비인데요 다양한 랙형태의 충반전 설비가 시중 유통되고 있습니다 완성된 전지는 전기차나 전기오토바이, 휴대폰에 탑재되어 거리를 누비거나, 서로를 연결해 줍니다 지금까지 2차전지의 제조공정을 간략히 살펴보았습니다. 2차전지 원료물질의 공급이나 생산설비,재활용설비의 제조나 수리는 010-2734-3535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