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YTN사이언스] 토종고래 상괭이 수호자, 국립수산과학원 박겸준 박사 / YTN 사이언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YTN사이언스] 토종고래 상괭이 수호자, 국립수산과학원 박겸준 박사 ■ 박겸준 /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 박사 [앵커] 한강에서도 돌고래가 발견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습니까? 서해와 한강에서 발견되는 이 돌고래, 얼굴 모양이 마치 사람이 웃는 것처럼 생겼다고 해서 '웃는 돌고래'라고도 불리는 토종 고래 상괭이인데요. 조선 시대부터 종종 발견되던 상괭이가 최근에는 개체 수가 많이 줄어 멸종위기에까지 몰리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 '탐구 人'에서는 평생 상괭이 연구에 몰두하신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 박겸준 박사님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 고래, 어쩌면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상괭이도 연구된 지 얼마 안 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에 고래가 몇 종류가 있습니까? [인터뷰] 큰 고래는 8종, 작은 돌고래 같은 종은 20여 종이 살고 있습니다. 상괭이 하면 사실 고래를 떠올리지 않습니다. 상괭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은 예전부터 존재하고 있어서 이름이 붙여졌었기 때문입니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도 상광어라고 설명이 되어있는데 그래서 오늘날에 상괭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그래서 토종돌고래라는 수식어가 붙었습니다. 그리고 상괭이는 등지느러미가 없고 머리가 둥근 특징이 있습니다. [앵커] 다른 돌고래하고는 차이가 있는 건가요? [인터뷰] 외형적으로 많이 차이가 있으므로 사람들, 심지어 어민들도 고래가 아닌 다른 생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앵커] 그러면 우리나라에 상괭이는 어느 지역에 얼마나 살고 있습니까? [인터뷰] 우리가 아는 것보다 상당히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요. 서해 전역, 남해 전역, 그리고 동해 남부 대륙붕이 넓은 지역까지 분포하고 있는데 얘네들의 분포 특성이 수심이 낮은 해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남해 연안에도 수심이 낮아 상괭이가 서식하기 좋고 서해는 전반적으로 수심이 낮으므로 상괭이가 서식하기에 좋습니다. [앵커] 서해하고 남해는 조수 간만의 차가 크지 않습니까? 고래들이 서식하기에 불편하지 않을까요? [인터뷰] 그래서 그런지 다른 고래들이 없습니다. 서해와 남해는 주로 상괭이만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돌고래 하면 떠올리는 참돌고래 같은 종류는 동해에 많고 남방큰돌고래는 제주에 있고 상괭이는 서해와 남해에 많습니다. 그...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