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명언1] 13부. 손사막의 말씀 담은 크게하고, 마음가짐은 작게해라(담욕대심욕소 膽欲大心欲小)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좋은글 #좋은말 #좋은생각 #좋은마음 #좋은글모음 #감성글 #감동글 #좋은명언 #하루한줄 #자기계발 #글쓰기 #고전 #교훈 #오늘의 명언 #위기관리 #격언 #인생 #중국 #담욕대이십욕소 #근사록 #담 #양면 #세심 #명언 #격언 #대담 #최고의상태 담욕대심욕소 膽 欲 大 心 欲 小 膽 : 쓸개 담, 欲 : 하고자할 욕, 大 : 큰 대 心 : 마음 심, 欲 : 하고자할 욕, 小 : 작을 소 담은 크게 하고 마음은 작게 가짐. 大 膽 (대담)하면서도 細 心 (세심)한 마음. 손사막은 당나라 초기 때 사람인데 ‘약왕(藥王)’이라고 불릴 정도로 중국 의학사에 불후의 명성을 남긴 명의(名醫)이다. 581년 태어나 682년 사망한 손사막은 당시의 평균 수명 기준으로는 상상하기도 힘든 102세의 장수를 누렸다. 의학은 물론 제자백가의 사상, 노자와 장자 등 도가(道家)의 철학, 불교 경전, 양생법(養生法)과 음양술(陰陽術) 등에 두루 통달했던 손사막을 세상 사람들은 인간의 경지를 넘어서 ‘신선(神仙)’에 도달했다면서 존경했다고 한다.담력은 장군과 같다. 장군은 결단을 임무로 한다. 그러므로 담력을 ‘크게[大] 가지려고 한다”는 것이다. 마음은 군주와 같다. 군주는 항상 공경해야 한다. 그러므로 마음을 ‘작게[小]’ 가지려고 한다”는 것이다. 담은 크게, 그러나 마음은 작게, 다시 말해서 대담하되 세심(細心)하라는 뜻의 말이다.이 두 가지의 요소는 언뜻 보기에 모순되는 것처럼 생각할지 모른다.그러나 양면(兩面)을 몸에 지니고 있지 않으면 일을 해낼 수가 없으며 사업을 성공시킬 수 없다. 어떤 일이든 곤란한 경우는 생기게 마련이다. 가령 일이 순조롭게 풀려 나가더라도 언제 어떤 곤경이 닥쳐올지는 모른다. 그런 때에는 필요한 것이, 어떤 역경에도 굴하지 않는 정신력과 왕성한 투쟁정신이다. 이것을 '대담'이라고 한다. 그러나 아무리 '대담'하더라도 무모하고 경솔하다면 곤란하다. 그것은 도리어 자멸을 재촉할 뿐이기 때문이다. '대담' 하면서도 그와 동시에 면밀한 조사나 신중한 배려가 따라야 하는 법이다. 이 두가지 조건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무슨 일을 하더라도 성공의 확률이 높을 것이다.머리는 차갑게 가슴은 뜨겁게라는 말이 떠오르는 대목이다. 냉정하면서도 열정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상태를 뜻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