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배터리 전쟁] 산업혁명으로 보여진 에너지 이용 변화를 배터리로 관찰, 에너지 자립으로 가는 배터리 기술의 중요성을 알 수 있습니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배터리를 이루는 핵심 원재료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 K배터리 기업들의 해외투자와 부존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각국의 경쟁을 살피고 미래 산업을 둘러싼 국제 정세 흐름 및 각국의 경쟁을 살필 수 있습니다. 산업혁명으로 보여진 에너지 이용 변화를 배터리로 관찰, 에너지 자립을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의 중요성을 함께 살필 수 있습니다. 목차 - 1~2장 리튬과 배터리 산업이 거시적 수준에서 어떻게 운영되는지 살펴 본다 3~4장 해외에서 최고 품질의 리튬을 확보하려는 중국의 노력을 살펴 본다 5~7장 리튬 시장 관계자와 정책 입안자들과 가진 인터뷰 정보원들이 제공한 자료를 더해 칠레의 라틴아메리카 최대 리튬 생산 업체 장막 뒤 사정과 볼리비아의 리튬 쿠테타 등을 정리 8장 리튬과 환경문제 그리고 전기자동차로의 전환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다 9장 이론적으로 무한정 재할용 할 수 있는 금속 리튬, 납이 걸어온 경로를 따를 수 있을지 재활용과 도시 광업을 살펴 본다 10장 전기를 동력으로 삼는 비행기, 화물선 프로젝트를 살펴 본다 #배터리전쟁 #이차전지 #k배터리 #중국배터리 #리튬 #소부장 #에너지자립 #배터리 #일차전지 : 사용 후 재사용이 불가한 일회용 전지를 일컫는다 #2차전지 : 연속적으로 반복 사용이 가능한 반영구적 화학전지 #에너지밀도 : 부피 또는 질량 단위당 에너지의 양을 의미 전지나 연료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양극재 : 배터리의 (+)극, 즉 양극을 이루는 소재를 말하며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리튬소스 역할을 하는 에너지원으로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양극재에 쓰이는 금속 원소 니켈은 배터리의 밀도에, 코발트와 망간은 배터리의 안정성에, 알루미늄은 배터리의 출력에 관여) #삼원계배터리 : 리튬 코발트 산화물(LCO)을 기본으로, 3가지 금속 원소를 혼합해 만든 배터리로 대표적인 삼원계 배터리로는 NCM과 NCA가 있다. NCM의 정확한 표기법은 LNCMO로 니켈과 망간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편의상 NCM이라고 부른다.(니켈의 함량을 높이고 코발트 함량은 줄인 NCM712, NCM811등 개발) #사원계배터리 : 삼원계 배터리에 금속 원소 1개 더해진 배터리 #리튬인산철배터리 (LFP, Li-FePO4) :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타 배터리의 60~70%수준에 불과해 차량용 배터리로는 적합하지 않았지만 테슬라는 LFP의 스택 구조를 변경해 효율을 증진하거나 LFP망간을 첨가해 능력이 소폭 상승한 LFMP 배터리를 일부 자동차에 사용 #스포듀민 : 광산에서 채굴되는 페그마타이트(pegmatite)는 스포듀민(spoduumene)을 함량이 높아 리튬과 베릴륨을 많이 얻어낼 수 있다. 페그마타이트는 마그마가 엉겨 굳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광물 지대다. 보통 철과 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휘석을 많이 포함하는데, 그중 리튬 함량이 높은 휘석을 스포듀민, 또는 리티아 휘석이라고 한다. #SQM : 세계최대 리튬 생산업체, 칠레화학회사 (LG에너지솔류션-리튬 생산업체인 칠레의 SQM으로 부터 8년간 5만 5천톤의 리튬을 공급받기로 계약 포스코-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리토 염호 연간 2만 5천톤 규모의 공장 2022상반기 착공) #배터리셀(cell) : 전기에너지를 충전, 방전해 사용할 수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기본 단위,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을 사각형의 알루미늄 케이스에 넣어 만듦(셀-모듈-팩) #배터리모듈(Module) : 배터리 셀을 외부 충격과 열, 진동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일정한 개수로 묶어 프레임에 넣은 배터리 조립체 #배터리팩(Pack) : 전기차에 장착되는 배러티 시스템의 최종형태, 배터리 모듈에 BMS(battery managment system), 냉각시스템 등 각종 제어 및 보호 시스템을 장착하여 완성된 Ex)BMW i3팩은 8개 모듈(모듈당 12개 셀)이 들어감 #수산화리튬 : 물에 녹는 흰색 고체로 탄산리튬이 노트북과 휴대폰용 배터리에 자주 사용되는 반면, 수산화리튬은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된다.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배터리 용량을 키우는 니켈과 합성하기 쉽기 때문 #탄산리튬 (전세계 리튬공급의 약 50%를 차지) 노트북, IT제품 등 소형 전자기기 배터리로 주로 사용 리튬광석은 종류에 따라 실제 함유된 리튬의 함량이 다르다.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탄산리튬을 기준으로 리튬의 수량을 환산해 계산 #전구체 : 양극재 원가의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배터리 제조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구체는 양극재가 되기 이전 단계의 물질로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원료들을 섞은 화합물. 여기에 리튬을 더하면 양극재가 된다. 양극재는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과 함께 배터리를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