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뇌가 일으키는 착각 : 착시현상 / YTN 사이언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 이효종 / 과학 유튜버 [앵커] 과학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풀어주는 (궁금한 S) 시간입니다. 일상생활에서 느꼈던 과학의 궁금증과 호기심을 과학 유튜버가 쉽게 설명해주는데요. 우리가 느끼는 착시현상은 시각이 아닌 뇌의 착각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런 뇌의 착각은 어떻게 발생하는 건지 지금 바로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인터뷰] 안녕하세요! 과학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는 궁금한 S의 이효종입니다. 오늘은 또 어떤 궁금증이 기다리고 있을지 기대되는데요? 그럼 궁금한 S와 함께할 세 번째 이야기 만나보겠습니다. 차를 타고 고속으로 달릴 때, 분명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공간이 즉, 도로가 뒤로 밀리는 것처럼 느껴질 때 있으셨죠? 이러한 현상은 왜 생기는 걸까요? 더 쉬운 예로는 이 사진을 주목해주세요. 가만히 들여다보면 이 토스트에서 뭐가 보이시나요? 찾으셨나요? 예수의 형상이 보이지 않으신가요? 보이신다면 아주 잘 찾은 겁니다. 그럼 두 번째 사진도 보여드릴게요. 이 두 번째 사진 속에는 어떤 게 보이나요? 단순한 원기둥 6개일 뿐인데, 로봇 혹은 사람의 형상이 연상되시죠? 그렇다면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터넷을 검색하면 발견할 수 있는 재미있고 다양한 착시현상들은 우리에게 소소한 재미를, 또는 착각을 일으키곤 합니다. 이는 빛으로 받아들인 정보를 우리의 뇌가 처리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빛을 그 정보 자체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착각이라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이런 메커니즘이 때로는 의도치 않게 우리를 속여 세상을 왜곡되게 바라보도록 만들곤 합니다. 궁금한 S! 오늘은 세상을 인지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통로인 눈과 그 시각 정보를 해석하는 중추 기관인 뇌가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 인식의 과정에서 우리를 어떻게 감쪽같이 속이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착시는 인간의 뇌의 진화에 따른 특징 때문인데요. 우리 눈에는 어떤 물체가 사라져도 그 물체의 형태와 색이 잠시 남습니다. 정확히는 뇌가 과거의 상을 잠시 기억하고 있는 것인데요, 이러한 해석은 개별적 경험에 따라 미래를 예상하게 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복합적 요소, 빛의 굴절과 의도적인 눈속임까지 더해지면 착시는 현실이 됩니다. 운동경기에서 심판이 오심하는 원인 중 하나도, 착시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죠. 10년 전, 미국의 과학자 데이비드 휘트니 박사팀이 테니스 경기 중 오심 사례를 분석한 결과 ‘아웃’을 선언했을 때의 오심 확률이 84%나 됐습니다. 인과 아웃의 오심 비율이 절반가량은 돼야 하는데, 아웃일 때 유독 오심이 많았던 것은 왜 그런 걸까요? 연구팀은 심판의 자질 문제가 아닌 인간의 시각적 인식 체계의 오차 때문이라고 밝혔는데요, 인간의 눈으로 제아무리 빛을 빠르게 쫓아도, 결국 전적으로 뇌의 판단에 따라 관찰은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입니다. 망막에 전달된 물질의 상이 시신경을 거쳐 뇌의 감각피질에 전달되는 데까지의 소요 시간은 약 0.1초, 즉 우리가 보고 있는 현재는 항상 0.1초의 과거가 되는 것입니다. 이런 0.1초 간의 과거 경험을 보충하기 위해 인간은 각자 경험에 따라 미래를 추측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테니스 경기의 심판은 판단이 애매한 상황이 오게 되었을 때, 과거의 경험으로 비추어 상황을 해석하게 되고, 그로 인해 공이 같은 방향으로 더 멀리 갔을 것으로 미뤄 짐작하게...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