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똑! 기자 꿀! 정보] 단아하고 맵시 있게…한복 잘 입으려면?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멘트 저희 아이도 오늘 어린이집에 한복 입고 간다고 하더라고요. 설 앞두고 아이들 한복 새로 장만하는 분들도 많을 것 같은데요. 이효용 기자가 한복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준비했다고 합니다. 기자 멘트 한복은 주로 명절 때, 아니면 친지의 결혼식에 참석할 때 꺼내 입게 되죠. 오랜만에 꺼내서 막상 입으려면 어느 방향으로 여며야 하는지, 고름은 어떻게 매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입는 방법부터, 세탁이나 보관까지 한복은 1년에 몇 번 입지 않아도 신경 쓸 게 참 많은 옷이죠. 예법에 맞게 잘 입는 방법과, 체형에 따라 단점은 감추고 맵시는 살리는 한복 고르는 방법, 까다로운 세탁과 보관 방법까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다가오는 설날, 올해도 한복 곱게 차려입고 온 가족이 모여서 즐거운 시간 보낼 준비, 하고 계시죠? 한복 하면 단아하고 전통적인 멋이 매력인데요. 그런데 요즘에는 레이스가 달리거나 은은하고 세련된 파스텔 색이 유행하면서 소박한 멋을 자랑했던 한복이 더 화려하고 아름다워졌습니다. 같은 한복이라고 해도 입는 사람에 따라 태와 분위기가 달라지는데요. 단점은 감추고 멋은 살리는 체형별 한복 착용법 알려드릴게요. 인터뷰 김예진(한복 디자이너) : “키가 작고 마른 사람은 A라인 치마를 입어 키가 커 보이도록 하고 연한 색의 한복을 입는 게 좋습니다.” 또 주름이 많은 치마를 입어서 저고리 바로 아래 치마 주름이 보이도록 하면 풍성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키가 큰 사람은 저고리와 치마 색이 비슷하면 키가 더 커 보이는데요. 그래서 최대한 대비되는 색으로 입어주는 것이 좋고 화려한 자수가 있는 당의를 입으면 우아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당의는 시선을 중앙으로 집중시키기 때문에, 반대로 키가 작다면 피하는 것이 좋겠죠. 어깨가 넓고 통통한 경우, 어떻게 입으면 날씬해 보일까요? 인터뷰 김예진(한복 디자이너) : “상체가 통통한 사람은 저고리를 짧게 입고 치마 띠는 넓은 것으로 입은 후 가슴 부분을 조여주면 상체가 말라 보입니다.” 소매는 속이 비치는 얇은 소재가 좋은데요. 어깨가 좁아 보이면서 더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줍니다. 자기 체형에 꼭 맞는 한복, 어떤가요? 한층 더 우아하고 고급스러워 보이죠? 녹취 “정말 날씬해 보여요. 어깨도 정말 좁아 보여요.” 녹취 “키가 정말 커 보이는 거 같아요. 그리고 저고리가 짧으니까 발랄해 보이고 한복이 정말 귀여워요. 너무 마음에 들어요.” 명절에는 아이들에게도 한복 챙겨 입히는 부모님들 많죠? 아이들 한복은 어떻게 골라야 할까요? 아이들은 성장이 빠르고 활동량이 많아서 고무줄로 된 바지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마를 입히는 것이 좋고요. 성인보다 피부가 연약하고 민감해서 깃과 소매 부분이 매끄럽게 처리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복 입을 때마다 헤매는 분들 계시죠? 체형에 따라 입는 것만큼이나 제대로 한복 입는 방법도 중요한데요. 우선 여성 한복 먼저 살펴볼게요. 치마를 입을 때는 치마의 오른쪽 자락이 왼쪽 자락을 덮도록 시계방향으로 둘러서 여며주고요. 치마끈은 앞으로 가져와서 왼쪽 가슴 위에서 묶어줍니다. 인터뷰 김예진(한복 디자이너) : “저고리를 입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동정과 고름을 매는 것입니다. 짧은 고름을 긴 고름 위에 올려놓고 긴 고름 밑으로 통과시켜서 적당히 조여 줍니다. 그런 다음, 짧은 고름으로 원을 만들고 긴 고름을 원 안으로 넣어줍니다. 고름과 고리를 조여주면 예쁜 고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남성 한복의 경우는 어떨까요? 바지는 큰사폭이 오른쪽으로 오도록 입어준 뒤 허리끈으로 고정하고요. 대님을 맬 때는 바지의 이음선을 복사뼈 바깥에 고정하는데요. 남는 여유분은 바깥쪽으로 돌려주고 대님은 두 바퀴 돌려서 복사뼈 안쪽에서 묶어줍니다. 바지 끝을 정리하고 대님이 보이지 않게 바지를 내려 정리해주면 되는데요. 깔끔하게 마무리됐죠? 명절에는 한복을 입고 식사를 하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