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8월 10일 실시) 제71회 심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9~35번(조선~대한제국 시대) 해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71회심화한능검 #71회한능검심화 #조일수호조규부록 문제 29번(20:48) - (가)조약은 "부산항...일본국 인민이 통행할 수 있는...동서남북 직경 10리로 정한다.."등을 힌트삼아 강화도조약(1876년)과 함께 체결된 부록, 즉 '조일수호조규 부록'임을 알 수 있고, (나)조약은 조선과 영국이 1883년 수교한 '조영통상조약'이므로, 사이 시기의 모습으로는 선지 4번(조청 상민 수륙 무역장정 체결 - 1882년)이 정답 / 선지 1번(거문도를 불법 점거하는 영국 군인)은 1885년, 선지 3번(부산 절영도의 조차를 요구하는 러시아 공사)은 독립협회가 활동하던 1897년경, 선지 5번(톈진조약에 따라 조선에서 철수하는 일본 군인)은 1885년의 일들임. / (나)조약의 시기를 정확히 모를 경우, (가)조약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미래의 일을 고르는 방법으로도 접근할 수 있는데, 선지 4번은 임오군란 이후, 선지 5번은 갑신정변 이후의 모습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정답을 선지 4번으로 고를 수도 있겠음. 문제 31번(26:47) - 자료 속의 '개혁'은, "국모 시해 사건 이후..태양력..연호 건양.." 등을 힌트 삼아 을미개혁임을 알 수 있으므로, 선지 3번(군제를 개편하여 친위대와 진위대를 설치)이 정답 / 선지 3번이 생소하다 하더라도, 선지 1번(지계 발급)은 광무개혁, 선지 2번(지방 행정구역을 8도에서 23부로 개편) 및 선지 5번(교육입국조서 반포)는 모두 2차 갑오개혁, 선지 4번(공사노비법을 혁파하고 과부 재가 허용)은 1차 갑오개혁 때의 조치라는 것을 확실히 구별할 수 있으면 정답을 선지 3번으로 확정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