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미래를 여는 첨단과학5] 네트워크과학 정하웅 교수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최신의 첨단 과학은 각종 매체에 중요한 열쇳말로 자주 오르내리지만 정작 그 과학 지식의 알맹이는 우리에게 쉽게 다가오지 않는다. 과학의 '결과'는 사회와 더 가까워지지만 과학의 '내용'은 더 난해해져 멀어지기 때문이다. 여러 분야에서 두드러진 연구성과를 내고 있는 연구자들을 직접 찾아가 몇차례의 집중 인터뷰와 함께 실험실 현장 체험도 곁들이면서 그런 난해함의 의미를 풀어본다. 후성유전학, 대사공학, 현대기하학, 기후역학, 나노 반도체 등 8개 분야를 선정해 차례로 살펴본다. ------------------------------------------------------------ [미래를 여는 첨단 과학] ⑤ 네트워크 과학 점(노드)과 점, 그리고 두 점을 잇는 선(링크). 세상의 네트워크를 설명하는 단위는 너무도 단순하다. 점들을 순서대로 쫓아 이어 그리기를 하던 추억은 우리에게 친숙하고, 또 여러 점들을 하나의 선으로 잇는 '한 붓 그리기' 문제는 수학에서 오랫동안 전통적인 연결망 문제였다. 그런 연결선이 수억, 수십억 개 모이고 점과 점의 상호작용이 복잡하게 얽히고설킬 때, 우리는 거기에서 '복잡계'를 본다. 그런 복잡계에선 노드와 링크의 총합만으론 설명할 수 없는 또 다른 현상, 이른바 '창발' 현상이 일어난다. 그게 복잡계가 간직한 비밀이다. 복잡계와 더불어 네트워크 이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때로는 처세술이나 마케팅 기법으로 주목받지만, 네트워크 이론 연구자인 정하웅 카이스트 교수(물리학)는 "복잡계의 근원적인 물음에 답하려는 또 하나의 시도가 네트워크 구조와 역동성을 연구하는 네트워크 과학"이라고 말한다. '네트워크가 펼치는 세상'에 관해 그의 얘기를 들어봤다. ■ 정하웅 교수는 누구? '복잡계 네트워크 과학'이라는 분야를 개척해온 주요 연구자들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미국 노터데임대학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던 1999~2001년에 '네이처'에 5편의 논문을 잇달아 쓰면서 주목받았다. 물리·생물·전산·사회·경제학 등 영역에서 다양한 연결망의 구조와 성질을 연구하며, 총 인용 횟수 8천 번이 넘는 논문들을 발표해왔다. 최근엔 미래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에 대해서도 연구하며, 네트워크 안에서 일어나는 동역학의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관련기사: http://www.hani.co.kr/arti/science/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