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혁신도시 인재 몰리는데…생산성은 ‘제자리’ / KBS 2025.03.04.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혁신도시에서 일하는 종사자 수가 큰 폭으로 늘고 있습니다. 정주 환경이 좋아 부산 혁신도시에 고학력 인재가 몰리는데, 이에 반해 생산성은 높아지지 않아 정책적 고민이 깊습니다. 이이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부산의 한 금융기관에 취업한 조수빈 씨. 결혼과 육아를 하며 부산에 정착했습니다. 부산에 연고는 없지만 이곳에서의 일과 생활에 만족합니다. [조수빈/직장인 : "수도권에 비해 물가나 집값이 조금 더 저렴하고, 대도시라서 인프라(기반시설)도 잘 갖춰져 있고, 그런 계기로 이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조 씨처럼, 문현금융단지와 영도, 센텀 등 부산 혁신도시 종사자가 증가세입니다. 산업연구원 조사 결과, 부산과 울산, 대구 등 영남권 3개 지역 혁신도시 종사자 수는 2010년 4만여 명에서 5만 8천여 명으로, 10년 새, 50% 가까이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지식산업 분야는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생활은 편리하고 교통 편의성이 높은, 질 좋은 정주 환경 덕분입니다. 문제는 노동 생산성입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평균 노동생산성 지수가 8.7% 하락했고 지식산업 역시, 제자리였습니다. 고학력 숙련 종사자의 증가가 뚜렷한 데 반해, 노동생산성은 기대 이하인 셈입니다. 전문가들은 연관 업종의 집적 효과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백승민/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부산 혁신도시 같은 경우 이제 3개로 쪼개져 있는데 땅이 좁고, 무엇보다 산·학·연 클러스터(단지)도 없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애초에 제조업을 겨냥하는, 대규모 생산시설을 유치하기에 유리한 조건은 아니었던 거죠."] 산업연구원은 부산 혁신도시의 경우 지식산업 등 비교우위가 높은 산업의 경쟁력을 더 높이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이한범/그래픽:김명진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