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랠리 '페이스노트' 설명서 - 더트랠리 2.0, WRC 초보탈출, 고수로 가는 길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네이버카페 랠리워즈 https://cafe.naver.com/rallywars 2024.12 추가사항 랠리 게임들의 페이스노트는 기본에서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일부 게임들의 특수 노트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적어두겠습니다. KT WRC 시리즈 Medium (미디움) : Short, Medium, Long, Very Long 순으로 코너 길이를 표시 (근데 KT WRC는 페이스노트가 똥이라 그닥 정확하게 사용되진 않음) Kinks (킹크) : Twisty 입니다. 코너가 빠르게 이리저리 꼬여있으니 라인 잘 잡고 최대한 직선으로 통과하시면 됩니다. EA WRC Sharp (샤프) : Tightens 노트의 일종인데, 실제로도 종종 쓰이는 노트입니다. 드라이버마다 사용처는 다릅니다. 어떤 드라이버는 Jump에만 붙여쓰기도 하고, 누구는 코너의 정점 모양이 샤프하다고 말하기도 하고, 코너 탈출 부분의 바깥 라인이 코너안쪽으로 휘어 있는걸 표현하기도 합니다. EA WRC는 맨 후자입니다. (이탈리아에서는 샤프 점프라는 표현으로 딱 한번 쓰임) 즉 코너 자체가 Tightens 해지진 않지만, 차량을 코너 안쪽으로 넣어서 탈출해야 합니다. 실제로는 샤프보단 Nips라는 표현을 더 많이 씁니다. Patchy (팟치) : 몬테카를로에서 들리는 노트입니다. Ice가 코너 전체에 깔리는게 아니라, 도로에 듬성듬성 존재하니 차량 그립을 잡을때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더트랠리에서는 Ice patches 라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Sebastien Loeb Rally Evo 플러스, 마이너스 노트는 해당 코너에서 약간 더 여유있고 없는걸 말합니다. Right 5 플러스 라고 하면 5코너보단 덜 가파르고, 마이너스가 붙으면 더 꺾어지고.. 어차피 SLRE를 제외한 현세대 랠리겜에선 들을 일이 없으니 무시하세요. 2018.12 설명을 잘못하여 정정합니다 5:10 더트랠리2.0 *immediately - into - and Early - 코너가 보기보다 일찍 시작됨 Late - 코너가 휘어지는게 늦어지니, 너무 일찍 코너로 밀어넣지 말것 Sudden - 코너가 급작스럽게 등장하니 (immediately와 비슷) 준비할것 17:12 Camber=진행 방향으로 도로기울어짐 (KT WRC 에서는 bad camber 의미로 쓰임) Bad Camber=진행 반대방향으로 도로기울어짐 이것도 실제 드라이버마다 사용법은 다릅니다. 어떤 드라이버는 '배드 캠버'의 의미로 'Camber'라고 하며 캠버는 딱히 노트를 붙이지 않기도 하고, Camber와 Bad Camber의 구분을 확실히 하는 드라이버도 있습니다. 드라이버마다 길을 보는 방법이 다르고, 노트를 만드는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것으로 각 드라이버와 코드라이버들의 특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애초에 페이스노트라는것은 가장 기본적인 부분 외에는 모두 드라이버와 코드라이버 사이의 약속된 '또 다른 언어' 같은 것이라, 서로 소통만 되면 그만입니다. 실제 노트들은 사전적인 의미와는 완전히 다르게 쓰이는 경우가 꽤나 많이 있으며, 왜 게임마다 노트가 조금씩 다른가요?에 대한 답이 되겠습니다. 아래는 실제 페이스 노트들의 차이에 대해 생각나는대로 써둔것이니, 관심이 있으시면 보시고 없으시면 넘기시면 됩니다. ============================ 방향 노트의 경우 종류가 다양합니다. 헤어핀,1,2,3,4,5,6,플랫 (혹은 슬라이드) / 헤어핀,2,3,4,5,6,7,플랫(혹은 슬라이드) / 헤어핀,1,2,3,4,5,6,7,8,9 / 헤어핀,9,8,7,6,5,4,3,2,1 / 10,11,12,13,14,15,16,17,18,19 / 헤어핀, K, Medium, Fast, Easy, Flat, Max, Slide 이외에도 드라이버마다 사용법은 다 다릅니다. 이어주는 노트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immediately (혹은 sudden), into, and 순으로 길이가 길어지나, into 보다 and를 더 짧은 노트로 쓰는 경우도 있음. 크레스트 표현의 경우 Crest와 Brow 표현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Brow는 차량의 거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크레스트, Crest는 그 반대 주의 표현 일반적으론 Care, Caution이 제일 많이 쓰이지만, 더 세분화해 Stop, Slow, Fast 를 붙이거나 이를 더욱 강조하기 위해 Must Slow, Must Stop 등의 표현도 사용되며, 더욱 신경써야하는 위험 구간에는 Watch라는 표현까지 사용하여 해당 구간에서 어택하지 않도록 심리적으로 조절해주기도 함 Hug-코너 탈출시 중앙 라인보다 살짝 안쪽에 머물러 있으라는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