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서울특별시 돈암동 흥천사 2020년02월17일 은하수TV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조선왕조 1395년(태조 4)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가 죽자 1396년 능지(陵地)를 정릉(貞陵)에 정하여 조영(造營)하고, 그 원당(願堂)으로 능 동쪽에 170여 칸의 절을 세워 흥천사라 칭하였으며, 조계종의 본산(本山)으로 삼았다. 초창기 이 절은 좌선(坐禪)을 하는 것으로 항규를 삼았다. 1398년 6월에는 왕명으로 3층 사리각과 사리탑을 절의 북쪽에 세웠고, 7월에는 우란분재(盂蘭盆齋)를, 8월에는 신덕왕후의 천도회(薦度會)를 베풀었다. 그러나 1403년(태종 3) 태종이 이 절의 노비와 밭의 양을 감하게 하였고, 1408년의정부의 건의에 따라 이 절을 화엄종(華嚴宗)에 귀속시키는 한편, 태평관(太平館)을 철거한 뒤 그 밭과 노비를 이 절에 이양하였다. 1410년 태조의 유지(遺旨)를 좇아 절을 수리하였고, 이듬해에는 사리각을 중수하였다. 1424년(세종 6) 이 절은 교종에 속하게 되었다. 1435년 사리각을 중수하였고, 1437년 왕명으로 이 절을 중수하였으며, 1440년 9월 대장경을 봉안하였다. 1441년 3월 이 절의 중수공사가 끝나자 5일 동안 경찬회(慶讚會)를 개최하였으며, 1443년 4월 회암사(檜巖寺) 주지로 있던 만우(卍雨)를 이 절에 머무르게 하였다. 또한, 1447년 안평대군(安平大君)을 시켜 사리각에 불골(佛骨)을 봉안하게 하였다. 1469년(예종 1) 명나라 왕과 왕후가 불번(佛幡)을 만들어 보냈으므로 이 절에 봉안하였다. 1480년 절을 다시 중수하였으며, 1504년(연산군 10) 내원당(內願堂)을 이 절로 이주시켰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에 절이 불타고, 1510년(중종 5)에 사리각까지 불타 완전히 폐허가 되어버렸고, 그 땅을 탐내는 자도 많이 생겼다. 다만, 그때의 대종(大鐘)만은 덕수궁으로 옮겨져 지금까지 남아 있다. 1569년(선조 2) 왕명으로 함취정유지(含翠亭遺址)로 절을 옮겨 지었다. 1794년(정조 18) 이 절의 승려 성민(聖敏)·경신(敬信) 등의 발원으로 현재의 위치로 옮겨 짓고 절 이름을 신흥사(神興寺)라 하였다. 그 뒤 1846년(헌종 12)구봉화상(九峰和尙)이 칠성각(七星閣)을 지었고, 1849년성혜(性慧)가 적조암(寂照庵)을 창건하였으며, 1853년(철종 4) 대웅전(지금의 極樂殿)을, 1855년 명부전(冥府殿)을, 1865년(고종 2) 대방과 요사채를 짓고 이름을 다시 흥천사라 하였다. 1885년에는 대방(大房)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堂宇)로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多包系)의 팔작지붕인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명부전·용화전(龍華殿)·칠성각·독성각(獨聖閣)·만세루(萬歲樓)·승방(僧房)·대방·일주문(一柱門)·종각(鐘閣) 등이 있으며 어린이집도 같이 운영 하고 있다 ‘흥(興)’ 이나 ‘봉(奉)’이 들어간 사찰은 대부분 왕실과 관련이 있다. 조선 초 사대문 안에 있었던 세 개의 사찰 이름은 모두 흥(興) 자를 첫 글자로 사용했다. 물론 나중에 원각사가 된 흥복사(興福寺)는 고려 시대부터 있었던 사찰이었지만 조선 개국 후 최초로 사대문 안에 지어진 흥천사(興天寺)는 조선의 첫 번째 왕비였던 신덕왕후의 능 옆에 세워진 능침사(陵寢寺)였고, 지금의 혜화동 자락에 있던 흥덕사(興德寺)는 태조 이성계가 태상왕이 된 뒤 자신의 사가를 사찰로 만든 경우다. 태조에 의해 만들어지고 또 세조에 의해 중창되었던 조선 초 사대문 안 3대 사찰은 때로는 호불(세종, 세조) 왕들에 의해 때로는 선왕의 뜻을 거스르지 못한다는 이유(문종, 예종, 성종)로 번창하거나 간신히 명맥을 유지했다. 하지만 연산군 때 세 사찰 모두 사달이 나고 만다. 1년 사이 화재로 모두 소실된 것이다. 화재 당시에는 특이한 기록이 없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중종실록〉에 사실 고백이 있다. 흥천사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사리각에 화재가 발생하자 이전 유생들의 행패가 드러난 것이다. 흥천사 사리각 방화 조사결과 유생이 불을 지른 것이 밝혀지자 중종이 이들의 강력한 처벌을 지시한다. 하지만 신하들이 발 벗고 나서 유생들의 구명에 나선다. 이때 중종이 ‘폐조(연산군) 때 흥천사와 원각사에 불을 지르더니 이제 또 반복되었다. 처벌을 면해 줄 수 없다’며 강력한 처벌을 지시한 것이다. 아무튼 조선의 3대 사찰은 그렇게 역사에서 사라졌다. 원각사는 연산군의 유흥을 위해 흥청으로 변했고, 흥복사는 조선 중기 이후 세도가(송시열 등)의 사저로, 흥천사는 월산대군 일가의 집터 자리로 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