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세계 최초로 제트전투기들의 전쟁터가 된 한국. 항공의 역사 3부.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3부는 세계 최초로 제트전투기들의 전쟁터가 된 한국전쟁 이야기부터 시작합니다. 7. 최초의 제트기 공중전이 벌어진 한국전쟁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초창기의 비행기와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급속도로 발전한 항공기는 1950년대 전후 프로펠러 항공기의 전성시대가 막을 내리게 됩니다. 한국전쟁을 통해 본격적인 제트기의 시대가 시작되었고 이후 냉전이 지속되면서 항공 군사력의 우위를 점하기 위한 동서진영의 경쟁은 항공과학과 기술을 또다시 엄청나게 발전시키게 되었어요. 그러나 군사적 목적만을 위한 경쟁이었기에 철저한 보안과 비밀 속에서 진행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2차대전 중 등장한 제트기로 인해 종전 후에도 각국은 제트전투기 개발을 서둘렀으며 제트기를 중심으로 한 항공기술 경쟁이 시작되었어요. 미국은 지속적으로 비행기 분야의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F-86 세이버’를 개발함으로써 제트시대를 선도하였고, 이 전투기는 1950년 한국전에 참전하여 소련의 전투기 MIG-15와 격돌, 세계 최초 제트기 간의 공중전을 벌이게 되었습니다. 한국전쟁은 제트 전투기들이 격돌한 첫 전쟁이었어요.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한반도 상공 대부분은 미 공군이 완전히 장악했지만, 중국과 소련의 국경인 압록강과 두만강 상공에서는 첨예한 대립이 있었습니다. 소련이 자랑하는 당시로서는 최신예 제트기 MiG-15가 한반도 상공에 출현했기 때문이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군의 세이버가 투입되면서 본격적인 대규모 제트기 공중전이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여러번의 교전에서 MiG-15는 27대가 격추된 반면 세이버는 단 4대만 격추되면서 세이버의 성능이 더 우수하다는 것이 증명되기도 했어요. 지금도 자유진영의 항공기가 공산진영의 항공기에 비해 교환비(전투에서 양측의 병력이 얼마만큼의 비율로 교환되었는가, 즉 적군의 사상자 수를 아군의 사상자 수로 나눈 수치)가 압도적으로 높지요. 아무래도 소련, 중국을 중심으로한 공산진영의 제품들이 자유진영에 비해 품질이 떨어지고 훈련시간도 부족하기 때문이겠죠? 다신 본론으로 돌아가서~ 1953년 4월부터는 세이버가 UN군의 주력 제트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휴전 시까지 제트기 공중전에서 MiG-15는 77대, 세이버는 14대 격추되었어요. 교환비가 5:1정도이 넘겠네요. 이후 세이버는 본격적인 제트시대를 열었던 전투기이자 전투기발전사 상 최고의 전투기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어요. 3부에는 또 다른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지는데요. 군사력증강을 목적으로 했던 동서진영의 경쟁적인 항공기술의 발전은 세계대전을 거치며 점차 첨단화, 정밀화, 세밀화 되었고 그에 따른 전문 인력의 양성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었어요. 또한 신기술이 발명되어 더 이상 군사적 기밀의 가치를 잃게 된 구식 기술들은 자연스럽게 민간항공산업으로 유입되었고, 이러한 현상들은 60년대 이후 민간항공의 발전을 가속화하는 밑거름이 되었어요. 8. 군용기가 민간기 발전의 밑거름이 되다. 군용기에서 개발된 많은 기술이 민간에서 활용된 사례를 알아볼까요? 1969년 아폴로 우주비행선이 달에서 찍어온 우주 사진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해 개발된 디지털 영상처리기술은 의료용 영상진단기MRI/CT의 발전에 활용되었어요. 항공기 엔진개발 중 압축기 제작으로부터 얻은 티타늄 표면처리방법은 인공관절과 임플란트의 개발에 적용되었구요. 항공기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블랙박스는 자동차에도 활용되고요. 항공기의 안전하고 안락한 이착륙 지원 시스템인 Non-Skid-Braking시스템은 차량용ABS(Anti skid Brake System)시스템으로 개발되어 브레이크의 혁신적인 발전을 가져왔죠. 로켓테스트용으로 개발된 화염감지카메라도 다용도로 활용되었고, 1970년대 우주정거장 화재 감지용으로 개발된 화재경보기도 마찬가지입니다. 항공기 바퀴에 전해지는 각종 압력과 하중이 시트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랜딩기어 이착륙시스템은 흥미롭게도 접이식 유모차에 적용되고요. 사고시 충격을 어깨 전체로 분산시켜 성장기 어린이에게 올바른 탑승 자세 유지에 필요한 낙하산 벨트도 유아용 카시트에 활용됩니다. 우주에서 물을 마시기위해 물 속의 중금속, 악취를 걸러주는 정수시스템도 그렇고, 우주에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개발된 태양전지패널도 마찬가지구요. 예상하셨겠지만, 위성항법시스템(GPS)도, 항공기에 설치할 카메라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해 개발된 시모스(CMOS)도 디지털카메라의 소형화에 기여했어요. 한편, 유도미사일의 개발로 빠른 속도가 더 이상 전투기의 장점이 될 수 없게 되자 제트엔진 기술은 자연스럽게 민간으로 유입되게 되었고, 최초의 초음속 여객기라고 하는 ‘콩코드’가 출현하게 되었어요. 또한 적지의 정밀한 타격을 목적으로만 활용되던 위성항법시스템(GPS)도 민간항공기에 장착할 수 있게 되면서 더 정확하고, 안전한 수송을 가능하게 했고요. 9. 민간여객의 발달 90년대 이후 냉전이 해소되고 그에 따라 군사적 발전과는 별도로 민간항공이 독자적 시장을 갖게 되자 민간항공은 그들만의 독자적인 발전방향을 갖게 되었어요. 항공기가 점차 여행자를 수송하여 국제적으로나 국내적으로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이 증대되자 각국 정부에서는 항공사의 확보, 공항시설의 현대화, 공항의 관리 등 항공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더욱 발전시키게 되었습니다. 항공기는 거리 이동에 있어 20세기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각광받게 되었고 철도나 해상운송이 할 수 없는 신속함이라는 장점으로 항공운송사업은 점차 대형화되어갔죠. 자, 3부는 여기까지고요. 4부에서는 드디어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대한민국 항공의 역사를 시작합니다. 그럼 투비 컨티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