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모아보기] IMF의 2025년 세계경제전망 : 전세계가 '저성장 고착화'되는데, 미국 경제만 견조하게 성장한다. '미국 예외주의'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IMF 경제전망 보고서 『IMF(2024.10), World Economic Outlook』를 분석한 아래의 경읽남 166화~168화를 모아보기로 제공합니다. 1. [경읽남 166화] IMF의 경고 "향후 5년 미국만 성장하고, 세계경제는 저성장 고착화." 과도한 부채에 의존해 재정능력을 상실한 정부는 2030년까지 저성장의 늪에 빠진다. 2. [경읽남 167화] IMF의 2025년 경제전망 : 유럽이 가난해 진다. 유럽 국가들이 서둘러 금리인하 하는 이유. 한국경제에 주는 메세지 3. [경읽남 168화] '차이나 엑소더스' 기업들이 중국을 떠나고 있다. 인도는 중국을 대체할 수 있을까?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인도의 5년후 미래 🚩 김광석 『피벗의 시대 2025년 경제전망』 (교보) https://bit.ly/47iCsxq (예스24) https://bit.ly/4gcRucm 🚩 김광석, 박세익, 박정호, 오태민 『트럼프 2.0』 (교보) https://url.kr/5rd2o9 (예스24) https://url.kr/afp34o [경읽남 166화] IMF의 경고 "향후 5년 미국만 성장하고, 세계경제는 저성장 고착화." 과도한 부채에 의존해 재정능력을 상실한 정부는 2030년까지 저성장의 늪에 빠진다. 1. 2025년 세계 경제전망(Another Period of Not-Good-Enough) IMF의 2025년 세계경제 전망 유로존 및 독일 경제성장률 추이 및 전망 국제기구의 2025년 세계경제 전망 2. 2029년까지 ‘저성장 고착화’ 현실인가? Growth Outlook Medium-Term Outlook 3. 미국 예외주의(The U.S. Exceptionalism) IMF의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조정 G7 국가별 2025년과 2029년 경제성장률 전망 4. 정부의 재정능력 상실 General Government Interest Payments 5. 지정학적 분절화 Global Trade Development and Outlook Trade between Blocs Changes in Goods Trade Growth 6. 디스인플레이션의 진전 Inflation in AEs and EMDEs 7. 향후 통화정책 기조 세계 주요국 정책금리 추이 Real Policy Rate Paths in Major Economies Monetary Policy Projections [경읽남 167화] IMF의 2025년 경제전망 : 유럽이 가난해 진다. 유럽 국가들이 서둘러 금리인하 하는 이유. 한국경제에 주는 메세지 1. ‘저성장의 늪’에 빠진 유럽 주요국 경제성장률 추이 및 전망 유로존 및 독일 경제성장률 추이 및 전망 OECD의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24.9) 2. 에너지 위기, 유럽 경제의 최대 변수 러시아-EU 파이프라인 가스 공급 추이 주요국 소비자물가(CPI) 상승률 전망 에너지 가격 상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3. ‘생활비 위기’에 직면한 유럽 유럽 주요국 실질임금 추이 임금 상승률 대비 식료품 가격 상승률 4. 서둘러 금리인하 단행하는 유럽 세계 주요국 정책금리 추이 실업자 1명당 빈 일자리 개수 Purchasing Managers’ Index 유로지역 산업생산 지수 유로지역 소매판매 지수 5. 흔들리는 유럽에서 찾는 교훈 첫째, 에너지 안보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지각변동에 대응해야 한다. 셋째,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 [경읽남 168화] '차이나 엑소더스' 기업들이 중국을 떠나고 있다. 인도는 중국을 대체할 수 있을까?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인도의 5년후 미래 1. 중국의 성장 둔화 중국의 경제성장률과 수출증감률 추이 및 전망 China’s Foreign Direct Investment 2. 무역전쟁과 차이나 엑소더스(China exodus) 미국과 중국의 관세율 현황 미국 국민의 대중국 정서 주요국들의 중국에 대한 인식 3. 저성장하는 세계경제, 고성장하는 나라? (OECD) OECD의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24.9) Medium-Term Outlook (IMF) Growth Forecasts in Developing Asia (ADB) GDP Growth in Southeast Asia GDP Growth in South Asia 4. 인도의 제조업 육성 정책 PLI(Production Linked Incentive, 생산연계 인센티브) 인도의 산업생산 증가율(%) 인도의 산업별 고용 비중(%) 5. 인도의 잠재력 : (1) 인구와 노동력 (2)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 공급망 재편 (3) 시장규모 6. 인도의 한계 각국 GDP 대비 운송비용(%) 각국 최혜국 관세율(%, `22년) 7.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중국, 인도 공급망 평가 국가별 누적 AI 민간투자(억 달러, `13~22년) 한국의 주요국별 수출 현황(2023년 기준) #IMF #경제전망 #세계경제 #세계경제전망 #미국 #미국경제 #미국경제전망 #미국경제위기 #저성장고착화 #저성장 #경기침체 #성장둔화 #통화정책 #금리인하 #기준금리 #인도 #중국 #중국경제 #트럼프 #관세전쟁 #무역전쟁 #차이나엑소더스 #글로벌사우스 #경제읽어주는남자 #경읽남 #김광석교수 #경제전망 #경제공부 #2025년경제전망 #2025경제전망 #2025 #트렌드 #경제트렌드 #피벗의시대 #피벗 #트럼프 #트럼프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