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DRAM 밀도, 10나노 대에서 계속 줄어들기 힘든 이유... HBM이 답인가 | 3D DRAM과 Processing-in-Memory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무어의 법칙을 따라 10년 동안 100배 밀도 증가해온 DRAM은 최근 10년동안 2배밖에 증가하지 못했는데요. 1T1C 구조에서 특히 캐패시터의 경우 길죽한 모양으로 미세화가 더욱 어려운 지경입니다. 더군다나 DRAM 특성 상 30~40ms 마다 끊임없이 refresh를 해야 데이터가 지속 저장되기 때문에 이를 잘 Control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Sense Amplifier의 미세화도 어려운 상황인데요. DRAM이 현재 만난 한계점, 10나노대에서 아주 조금씩 줄어드는 상황을 정리하며 향후 DRAM 개발 방향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무어의법칙 #DRAM #HBM 이전 영상 ㅡ 디램 역사 원리 • HBM은 비효율적... 그러나 이렇게라도 | 10년에 100배 밀도... Written by Error Edited by 이진이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