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한자경 교수, 불교가 무의식을 끝없이 탐구하는 이유 : 유식사상에서본 무의식 [붓다빅퀘스천 48회]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한자경 #유식사상 #마음 #무의식 #불교 #붓다빅퀘스천 이 강연에서 한자경 교수는 불교 유식사상을 바탕으로 마음과 의식의 본질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마음’이라고 부르는 것은 사실, 보고 듣고 생각하는 작용인 ‘의식’에 불과합니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의식을 ‘대상의 그림자’라고 하여, 진정한 자아를 가리는 허상으로 봅니다. 진짜 마음, 즉 본래의 성품은 이와는 다른 차원에 있으며, 태어나지도 않고 사라지지도 않는 ‘불생불멸의 본심’으로 설명됩니다. 불교에서는 의식을 여덟 단계로 나누어 분석합니다. 감각을 통한 인식(전5식), 사유하고 판단하는 의식(제6의식), 자아의식의 근원인 말라식(제7식), 그리고 모든 경험과 기억, 업이 저장된 무의식의 저장소인 아뢰야식(제8식)까지. 이 중 아뢰야식은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와 자아의 가장 깊은 바탕으로 작용합니다. 우리의 의식은 단순히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경험과 업(업력)이 종자처럼 저장되고, 그것이 다시 현재의 인식으로 나타나며, 또 다시 새로운 종자를 남기는 순환적 구조를 갖습니다. 이 과정이 바로 '종자의 훈습과 현행'이며, 우리가 사는 세계는 결국 이 아뢰야식 안의 종자들이 펼쳐진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표층적인 의식의 움직임 너머에는, 절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심층의 마음이 있습니다. 한 교수는 이를 그림이 그려진 종이의 ‘흰 바탕’에 비유합니다. 그림은 끊임없이 변하고 사라지지만, 종이의 바탕은 늘 그대로인 것처럼, 우리의 본래 마음도 불변합니다. 이 본래의 마음을 깨닫는 것이 곧 ‘각성’이며, 이때 우리는 번뇌를 알아차리는 힘, 곧 지혜를 얻게 됩니다. 그렇게 자타의 경계가 사라지고, 모든 존재를 향한 자비심이 피어납니다. 00:01:36 마음이란 무엇인가? 마음은 우리가 듣고 생각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의식이라고 불립니다. 의식은 대상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며, 항상 깨어있지만 꿈 없는 잠이나 기절 시에는 멈춥니다. 불교에서는 의식을 대상의 그림자로 보고, 참된 본성을 가리는 도적에 비유합니다. 참된 마음은 본래의 성품이며 보물과 같습니다. 00:16:08 불교에서의 식의 분석 전5식(前五識): 감각을 통해 대상을 인식하는 다섯 가지 식(눈, 귀, 코, 혀, 몸)을 말합니다. 제6의식(第六意識): 사유하고 판단하는 의식으로, 오경(五境)과 법경(法境)을 대상으로 합니다. 제7말라식(第七末那識): 의식의 근원인 자의식으로, 의(意)와 마나스(識)의 음역입니다. 제8아뢰야식(第八阿賴耶識): 일체 정보를 저장하는 식이며, 심(心)이라고도 불립니다. 00:28:54 종자의 훈습과 현행: 반복되는 순환 구조 종자(種子) : 칠식(七識)의 행위인 업(業)이 남긴 업력, 경험이 남긴 정보입니다. 현행(現行) : 종자가 현상화되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훈습(熏習) : 현행이 종자를 훈습하고, 종자가 현행화하는 순환 구조를 말합니다. 세계는 아뢰야식의 전변 결과: 아뢰야식에 저장된 종자들이 현행화되어 나타나는 것이 세계입니다. 00:44:23 절대 부동의 마음: 그림의 비유 현상 세계: 종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세계 사물들로, 인연 따라 생멸하는 것들입니다. 심층식: 그림의 바탕인 흰 종이와 같으며, 연기 너머의 불생불멸하는 마음입니다. 우리 안에는 불생불멸하고 절대 부동의 본심인 심식이 있습니다. 00:47:38 심층식을 해명하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표층식의 해명은 심층식의 의미를 넘어섭니다. 표층식의 각 각 인식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자의 모든 경험이 일미진중함시방(一微塵中含十方)의 의상(意象)입니다. 심층식은 서로 다르지만 심층식은 본식(本識)의 존재입니다. 각성하면 본심은 불생불멸이며, 번뇌를 번뇌로 알아보는 식 자체는 지혜입니다. 일심에서 오는 자타불이의 느낌은 자비입니다. 한자경 교수, 마음속 가장 깊은 곳의 마음을 공부하는 이유 : 유식사상에서본 무의식 [붓다빅퀘스천 48회] ◇ 불광 블로그(공식) : https://blog.naver.com/bulkwanger ◇ 불광 페이스북 페이지 : / bulkwang ◇ 불광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 ◇ 불광미디어 인스타그램 : / bkbooks79 ◇ 불광미디어 홈페이지 http://www.bulkw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