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외곽인줄 알았는데 10년 뒤엔 강남, 놓치면 후회할 서울 핵심 3곳 | 김시덕 도시문헌학자 몰아보기 [머니명강]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강남에서 몇 분 거리?” 요즘 부동산 광고에서 가장 자주 들리는 문구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강남이 왜 이런 ‘기준점’이 되었는지, 얼마나 특별한지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 이 영상은 ‘강남’이라는 지명이 어떻게 대한민국의 부동산, 교육, 심지어 계급 질서까지 움직이게 되었는지를 역사와 정책, 사회적 인식의 변화 속에서 풀어봅니다! ⚡ AI가 꼽은 핵심 내용 1. 강남의 진짜 역사: 숨겨진 원주민 이야기와 급조된 도시의 비밀. 2. 부동산 시장의 민낯: 정치적 '뻥카'와 호재의 허와 실. 3.강남 성공의 비결: 정부가 아닌 시민이 만든 '불야성'. 4. 미래 강남의 확장: '반도체 벨트'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투자 지형. 5. 성공적인 투자: 정치인의 말보다 '그들의 재산'을 보라. 🤖 AI 요점 정리 1. 강남에 대한 오해와 진실 -강남은 원래 농촌이었다: 현재의 화려한 모습 뒤에는 아파트 개발 이전 농촌이었던 강남의 잊힌 역사와, 그 과정에서 소외된 이들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정부가 버린 도시를 시민이 만들었다: 강남은 본래 강북 인구 분산을 위한 '급조된' 계획 도시였으나, 정부 계획이 중단된 후 시민들의 열망과 욕구가 모여 현재의 상업 중심지로 성장했습니다. 2. 부동산 시장의 현명한 통찰 -정치적 '뻥카'에 속지 마라: 1기 신도시 재건축이나 GTX 연장 등 정치인이 내세우는 화려한 부동산 호재는 비논리적인 경우가 많으니 현혹되지 말고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확장 강남' 시대의 도래: 강남은 '강남 3구'에 머무르지 않고, 분당, 판교를 넘어 수원 삼성전자 중심의 '반도체 벨트'를 따라 충청권까지 그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강남의 진짜 힘은 유동인구: 강남 상권의 활력은 단순히 부자들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모여드는 유동인구에 의해 지탱됩니다. 3.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조언 -땅의 운명은 정해지지 않았다: 토목 기술 발달과 교통망 변화가 도시의 미래를 결정하므로, 고정된 관념보다는 변화를 읽는 눈이 중요합니다. -정치인의 공약보다 '그들의 재산'을 보라: 소중한 자산을 지키기 위해선 정치인이나 행정가의 말에만 의존하지 말고, 그들이 실제 어디에 투자하는지 등을 냉철하게 분석해야 합니다. 🎥타임라인 00:00 오프닝 00:09 움직이는 개념인 '강남' 1:14 우리가 '강남'에 대해 알아야 하는 이유 2:02 지역학과 문헌학으로 바라본 '강남' 3:25 '강남'의 과거를 보여주는 자료들 11:06 '강남' 성공의 본질 14:10 강남, 과거와 현재의 대비 15:15 강남의 '토박이' 개념 재정립 16:08 강남 개발의 숨겨진 이야기: 잊힌 사람들 17:24 분당 재건축 강남보다 느릴 수밖에 없는 이유 19:25 부동산 호재의 허상 21:36 시민들이 만들어낸 강남 26:15 제2의 강남은 어디인가? 27:41 강남 탄생의 결정적 순간들 31:51 강남 1극 체제가 된 배경 35:05 서울의 미래: 3핵에서 2핵 체제로의 재편 36:09 반도체 벨트를 중심으로 확장되는 강남 37:15 경기도와 연결된 강남상권 38:36 서초구 북부, 송파구 북부의 부상 41:43 강남의 핵심 동력: 반도체 벨트 44:02 부동산 심리와 정책의 허상 45:10 세종시의 열망과 현실 48:06 강의를 마치며 ✉️강연 및 협업 문의 [email protected]